본문 바로가기

울릉도식물228

헐떡이풀(2) 헐떡이풀(2) | 헐떡이약풀, 천식약풀(북한명), 산바위귀 Heol-tteok-i-pul Tiarella polyphylla D. Don ○ 국명정보 헐떡이풀 : 박만규 (1974) ○ 국명의 유래 "헐떡이 + 풀", 헐떡이풀이라는 이름은 천식(헐떡이)에 약이 되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헐떡이풀속(Tiarella) 헐떡이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히말라야, 한국 | 경북(울릉도) 깊은 산의 습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 옆으로 자란다. 줄기 높이 10~40㎝이며 선모가 있다. 잎 근생엽은 모여나고 엽병이 길며 경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짧다. 잎은 심원형으로 길이와 너비가 각각 2~7㎝이며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불규칙한 톱.. 2019. 12. 4.
섬장대(1) 섬장대(1) | 섬장때 Seom-jang-dae Arabis takesimana Nakai ※한반도 고유종 ○ 국명정보 섬장대 : 정태현, 도봉선,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섬 + 장대", 섬장대라는 이름은 울릉도 섬 바닷가에서 자라는 장대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십자화과(Brassicaceae) 장대나물속(Arabis) 갯장대(=섬갯장대) / 늘어진장대 / 바위장대 / 섬장대 / 장대나물 / 주걱장대 / 참장대나물 / 흰장대나물 ○ 분포|자생지 한국 | 울릉도 바닷가 산기슭에 자란다. ○ 형태 두해살이풀 전체에 일반적으로 모용은 거의 없거나 간혹 성상으로 존재한다. 뿌리 주근계로 다소 빈약하다. 줄기 일반적으로 단생, 직립, 흔히 상부에서 분지하고, 거의 털이 없는 형태이다. 잎 근.. 2019. 12. 4.
윤판나물아재비(2) 윤판나물아재비(2) | 대애기나리, 윤판나물 Yun-pan-na-mul-a-jae-bi Disporum sessile D. Don ○ 국명정보 윤판나물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윤판나물아재비 : 이남숙 "한국산 애기나리속의 분류학적 연구"(1979) 대애기나리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윤판나물 + 아재비" 윤판나물아재비라는 이름은 윤판나물과 닮은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은 식물체가 막대기(대)처럼 쉽게 자라는 애기나리라는 뜻의 대애기나리로 기록했다. 에서 윤판나물을 비로소 별도 식물로 기록했으며, 그 후 한국산 애기나리속의 분류학적 연구에서 대애기나리를 윤판나물을 닮았다는 뜻의 윤판나물아재비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윤판나물은 제주도 .. 2019. 12. 4.
쇠뜨기(1) 쇠뜨기(1) | 뱀밥 Soe-tteu-gi Equisetum arvense L. ○ 국명 정보 쇠뜨기*즌솔*뱀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쇠 + 뜨기" 라는 이름은 쇠와 뜨기의 합성어로, 식용은 하지만 맛이 그다지 좋지 않아 소나 먹을 만한 나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봄에 새로 돋는 생식경을 날것으로 먹거나 데쳐서 식용했고 영양경을 베어 가축의 사료로 사용했다. 민간약재로도 사용했다. 다만 규산이나 기타 금속성 성분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다량으로 식용하거나 사료로 사용하지 않는다. 접미사 -뜨기는 촌뜨기, 시골뜨기, 사팔뜨기 등과 같이 부정적 속성을 가진 경우 사용되는 말이므로, 쇠뜨기는 소를 부정적 속성으로 사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즉, 먹거리.. 2019.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