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식물228

도깨비쇠고비(2) 도깨비쇠고비(2) | 도깨비고비 Do-kkae-bi-Soe-go-bi Cyrtomium falcatum (L.f.) C. Presl ○ 국명정보 도깨비쇠고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도깨비 + 쇠고비", 도깨비쇠고비라는 이름은 잎의 깃조각 모양이 도깨비를 닮았고 고비에 비해 거친 모양(쇠)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전통 명칭 고비을 기보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도깨비와 쇠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관중과(Dryopteridaceae) 쇠고비속(Cyrtomium) 참쇠고비 / 쇠고비 / 도깨비쇠고비 / 산쇠고비 / 긴잎도깨비쇠고비 / 윤쇠고비 ○ 분포|자생지 중국,.. 2019. 12. 6.
식나무(3) 식나무(3) | 넓적나무, 넙적나무, 청목 Sik-na-mu Aucuba japonica Thunb. ○ 다른 국명 청목(가지와 잎이 사시사철 푸르러 靑木이라 부르기도 한다.) ○ 분류 식나무과(Aucubaceae) 식나무속(Aucuba) 식나무 / 금식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저장성), 일본(홋카이도 남부 이남), 타이완, 한국 | 경북(울릉도),.. 2019. 12. 4.
섬모시풀(3) 섬모시풀(3) | 영문명; Island ramie Seom-mo-si-pul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Koidz.) W.T.Wang | Boehmeria nipononivea Koidz. ○ 국명정보 섬모시풀 :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섬 + 모시풀", 섬모시풀이라는 이름은 제주도, 전남 대흑산도, 홍도 등이 섬에서 자라는 모시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모시풀속(Boehmeria) 털긴모시풀 / 섬모시풀 / 모시풀 / 왕모시풀 / 개모시풀 / 제주모시풀 / 긴잎모시풀 / 좀깨잎나무 / 섬거북꼬리 / 거북꼬리 / 풀거북꼬리 / 제주긴잎모시풀 / 왜모시풀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타이완, 한국 | 제.. 2019. 12. 4.
감탕나무(1) 감탕나무(1) | 떡가지나무, 끈제기나무, 甘湯 Gam-tang-na-mu Ilex integra Thunb. ○ 국명정보 감탕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1. "감탕 + 나무", 감탕나무라는 이름은 나무껍질로 감탕(甘湯)을 만든 것에서 유래했다. 주요 자생지인 제주도 방언에서 채록한 것으로 감탕은 아교풀과 송진 따위를 끓여서 만든 점착제를 말한다. 16세기 저술 훈몽자회는 끈끈한 접착제를 뜻하는 이(黐)를 감탕이라고 기록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이 나무의 속껍질을 벗겨 삶거나 나무껍질에다 상처를 내어 수액을 받아 굳히면 감탕을 얻을 수 있다. 감탕은 '단맛이 나는 국물이나 액체'라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나오는데 .. 2019.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