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피나무
섬피나무 | Ulleungdo linden, Island linden, タケシマシナノキ, Seom-pi-na-mu Tilia insularis Nakai ○ 국명정보 섬피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1. "섬 + 피나무", 섬피나무라는 이름은 울릉도(섬)에 나는 피나무라는 뜻에서 국명이 유래하였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피 + 나무", 피(皮)는 이 나무의 껍질을 뜻한다. 피가 곧 이 나무 이름이 된 것이다. 그만큼 이 나무의 껍질이 쓰임새가 넓다는 뜻이다. 피나무의 영어 이름 배스우드(Basswood), 라림(Lime), 린덴(Rinden) 에도 모두 껍질이란 뜻이 들어 있다. 피나무 껍질에 들어 잇는 인피섬유는..
2013. 5. 27.
섬말나리
섬말나리 | 섬나리, 성인봉나리 Seom-mal-na-ri Lilium hansonii Leichtlin ex Baker ○ 국명정보 섬말나리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섬 + 말나리", 섬말나리라는 이름은 섬(울릉도)에서 자라는 말나리라는 뜻이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말나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산지 섬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Lilium 백합속 날개하늘나리 / 노랑땅나리 / 땅나리 / 말나리 / 개말나리 / 나리 / 백합 / 섬말나리 / 솔나리 / 참나리 / 큰솔나리 ..
2013. 5. 27.
왕호장근
왕호장근 | 왕호장, 큰감제풀, 왕감제풀, 왕까치수영, 개호장, 왕싱아, 엿앗대 Wang-ho-jang-geun Fallopia sachalinensis (F. Schmidt) Ronse Decr. ○ 국명정보 왕호장근 : 이창복 (1969) 왕싱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왕 + 호장근", 왕호장근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큰(왕) 호장근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왕싱아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왕호장근으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마디풀과(Polygonaceae) 닭의덩굴속(Fallopia) 감절대 / 나도닭의덩굴 / 나도하수오 / 닭의덩굴 / 삼도하수오 / 왕호장근 / 큰닭의덩..
2013.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