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꽃운향
술꽃운향 | 운향, 영명 : Rue Fringed Sul-kkot-un-hyang Ruta chalepensis L. 재배식물 ○ 국명정보 술꽃운향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술꽃 + 운향", 술꽃운향이라는 이름은 꽃술이 유난히 길게 나오는 운향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운향과(Rutaceae) 운향속(Ruta) 술꽃운향, 코르시카운향 ○ 분포|자생지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가 원산, 아라비아 반도의 서쪽 지중해, 카나리아 제도 , 카보베르데 , 아조레스 , 마데이라 전역 | 외국에서 도입되어 구충제, 방충제, 아로마 향료, 향수 원료, 해독제로 사용하기 위해 식재한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80cm 정도 자란다. 잎 복엽으로 각 잎은 여러 부분으..
2013. 6. 1.
푸조나무
푸조나무 | 평나무, 곰병나무, 중국명 : 조엽수(糙叶树)[cao ye shu] Pu-jo-na-mu Aphananthe aspera (Thunb.) Planch. ※ 학명의 뚯 ; 속명 Aphananthe = aphanes(희미하다)+anthose(꽃의)=>꽃송이가 뚜렷하지 않음을 뚯함. 종소명 aspera = 거친, 까칠까칠한 ○ 국명정보 푸조나무 : 한국식물도감(하권 초본부) (정태현, 1956) 평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곰병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푸조+나무", 바닷가 포구 마을에 당산나무로 흔히 만날 수 있다. 굵은 콩알 굵기의 검푸른 열매는 포구를 들락거리는 작은 새들의 먹잇감이다. 처음에는 '포구의 새 나..
2013. 5. 30.
풍게나무
풍게나무 | 긴잎풍게나무, 단감주나무/퐁게나무, 단감나무 Pung-ge-na-mu Celtis jessoensis Koidz. ○ 국명정보 풍게나무 : 이창복 (1947) 풍개나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풍게 + 나무", 풍게나무라는 이름은 울릉도 방언에서 유래했다. 풍게란 새를 쫓기 위해 대나무 토막의 한 끝을 네 갈래로 갈라서 작은 막대를 十자로 물려 묶은 끝에 돌을 넣고 돌리다가 던지는 투석 기구이다.식용하는 열매가 달린 모양이 이 풍게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팽나무과(Celtidaceae) 팽나무속(Celtis) => APG III분류체계에서는 삼과(Cannab..
2013. 5. 30.
덤불오리나무
덤불오리나무 | 두메오리나무, 덤불오리, 묏불오리, 설령오리나무, 만주덤불오리나무(북한명) Deom-bul-o-ri-na-mul Alnus mandshurica (Callier ex C. K. Schneid.) Hand.-Mazz. | Alnus viridis (Chaix) DC. subsp. fruticosa (Rupr.) Nyman ○ 국명정보 덤불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덤불 + 오리나무"의 합성어로 숲속 덤불에서 자라는 오리나무라는 뜻으로 에서 신칭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오리나무속(Alnus) 덤불오리나무(두메오리나무) / 물오리나무(물갬나무, 산오리나무)..
2013.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