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식물228

마가목 마가목 | 은빛마가목, 남등(南藤), 석남-등(石南藤), 정공-등(丁公藤) Ma-ga-mok Sorbus commixta Hedl. ○ 국명정보 마가목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은빛마가목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1. "마가목" 이라는 이름은 다양한 한자 표현에 馬가 공통적으로 쓰인 것을 볼 때 말[馬]과 연관해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정확한 어원이나 의미는 확인되지 않는다. 한자 표기는 馬價木, 馬家木, 馬加木, 馬可木, 馬哥木 등인데 고유명을 한자로 차자해 표기한 것으로 추정한다. 한편 새싹이 돋을 때 말의 이빨처럼 힘차게 솟아난다는 뜻의 馬牙木에서 유래했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馬牙木이라는 한자 표현은 일제강점기에 저술된 조선식물명휘에 기.. 2013. 5. 30.
섬댕강나무 섬댕강나무 | Seom-daeng-gang-na-mu Zabelia insularis (Nakai) Hisauti & H. Hara ○ 국명정보 섬댕강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섬 + 댕강나무"의 합성어임. 섬댕강나무는 섬 울릉도에 분포하는 한반도고유종이다. 댕강나무와 비슷한데 다른 댕강나무에 비해 잎 양면과 꽃받침에 털이 없는 점이 다르다. 이러한 특징에 연유하여 국명이 지어졌다.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린네풀아과(Linnaeoideae)>줄댕강나무속(Abellia) ※종전의 기존의 린네풀과(Linnaeaceae) 줄댕강나무속(Abellia) 댕강나무 / 섬댕강나무 / 줄댕강나무 / 털댕강나무 / 꽃댕강나무 ※ 한반도 고유종 ○ 분포|자.. 2013. 5. 29.
뜰보리수 뜰보리수 | 녹비늘보리수나무 Tteul-bo-ri-su-na-mu Elaeagnus multiflora Thunb. 재배식물 ○ 국명정보 뜰보리수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뜰 + 보리수", 산에 절로 자라는 보리수나무와는 달리 뜰에 심는 보리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가을에 열매가 익는 보리수나무와는 달리 뜰보리수는 열매도 보리수나무 열매보다 훨씬 크고 늦봄~초여름에 익는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보리수나무속(Elaeagnus) 뜰보리수 / 보리밥나무 / 보리장나무 / 큰보리장나무 / 보리수나무 ○ 분포|자생지 일본(홋카이도 남부, 혼슈) 원산 | 전국의 공원 및 정원에 식재한다. ○ 형태 수형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 2013. 5. 28.
너도밤나무 너도밤나무 Neo-do-bam-na-mu Fagus engleriana Seem. ex Diels ○ 국명정보 너도밤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1. 19세기 말 울릉도에 사람들이 이주해 살기 시작했을 때 첫 이주민 중에은 경상도와 전라도 사람들이 상당히 있었다. 그들이 울릉도에 오기 전부터 알고 있었던 나도밤나무와 구별하기 위해 너도밤나무라는 이름으로 불렀을 것이다. 너도밤나무는 우리나라 내륙에는 없고 울릉도에만 분포한다. 출전:박상진(2019) 2. "너도 + 밤나무", 너도밤나무라는 이름은 열매가 작은 밤과 같은 모양이므로 밤나무를 닮았다(너도)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참나무과(Fagace.. 2013.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