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397

고본(1) 고본(1) | 藁本, 古本, 고번, 중국명;细叶藁本(세엽고본) Go-bon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2003. | 학명이명 Angelica tenuissima Nakai, 1919. / Ligusticum tenuissimum (Nakai) ※중국식물지에서는 고본(藁本)의 학명을 Ligusticum sinense Oliv. 으로 하고 있다. 중국식물지에서는 Ligusticum tenuissimum (Nakai) Kitagawa을 세엽고본으로 명명하고 있다. ○ 국명정보 고본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고본"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藁本(고본)에서 비롯했으며, 藁는 마른나무, 本은 뿌리의 뜻이므로, .. 2017. 11. 7.
톱풀(2) 톱풀(2) | 가새풀, 배암세, 배암채 Top-pul Achillea alpina L. ○ 국명정보 가새풀(배암새, 톱풀)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톱풀 : 조선식물명집(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 톱풀" 이라는 이름은 잎이 깊게 찢어진 열편이 날카롭게 생겨서 양쪽에 날이 있는 톱을 연상심키는 뜻에서 유래했다.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했고 전초와 열매를 약용했다. 잎이 깊게 갈라진 것이 가위(가새)를 닮았다고 하여 가새풀이라고도 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 톱풀속(Achillea) Achillea alpina var. discoidea (Regel) Kitam.. 2017. 11. 6.
귀박쥐나물 귀박쥐나물 | 좀귀박쥐나물, 박쥐나물, 산귀박쥐나물, 좀쥐박쥐나물, 산박쥐나물 Gwi-bak-jwi-na-mul 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 Parasenecio auriculatus (DC.) H. Koyama 한반도 고유종 ○ 국명정보 귀박쥐나물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귀 + 박쥐나물", 귀박쥐나물이라는 이름은 잎자루의 기부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있는 박쥐나물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어린잎을 나물로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방망이족>(Senecioneae)>박쥐나물속(.. 2017. 11. 6.
게박쥐나물(2) 게박쥐나물(2) | 개박쥐나물, 계박쥐나물 Ge-bak-jwi-na-mul 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 Koyama ○ 국명정보 게박쥐나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게 + 박쥐나물", 게박쥐나물이라는 이름은 잎의 모양이 게[蟹]와 비슷한 박쥐나물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잎이 콩팥모양으로 끝이 짧게 뾰족해지는 특징이 있으며 어린잎을 식용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박쥐나물을 기본으로 하고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게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금방망이족>(Senecione.. 2017.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