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397

단풍터리풀 단풍터리풀 | 흰털이풀, 강계터리풀, 단풍터리 Dan-pung-teo-ri-pu Filipendula palmata (Pallas) Maxim. ○ 국명정보 단풍터리풀 : 박만규 (1949) 단풍터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단풍 + 터리풀", 단풍터리풀이라는 이름은 잎이 단풍잎처럼 깊게 갈라지는 터리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깊게 갈라지고 턱잎이 타원모양으로 발달하는 특징이 있다. 단풍터리풀은 학명의 종소명 'palmata(손바닥 모양의, 장상의 )'과 관련이 있다. 터리풀이라는 이름은 꽃이 핀 모습이 마치 털을 묶어 가지 끝에 맨 것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터리풀의 터리는 털의 옛말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2017. 11. 24.
가는기린초(1) 가는기린초(1) | 가는꿩의비름, 집우지기, 기는잎기린초 Ga-neun-gi-rin-cho Sedum aizoon L. ○ 국명정보 가는기린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가는꿩의비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가는 + 기린초", 가는기린초라는 이름은 기린초에 비해 잎이 가는 것에서 유래했다. 에서는 가는 꿩의비름이라는 뜻의 가는꿩의비름을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가는기린초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돌나물속(Sedum) 가는기린초 / 갯돌나물 / 기린초 / 돌나물 / 땅채송화 / 말똥비름 / 바위채송화 / 섬기린초 / 속리기린초 / 애기기린초.. 2017. 11. 24.
애기봄맞이(1) 애기봄맞이(1) | 명천봄마지, 북봄맞이 Ae-gi-bom-maji Androsace filiformis Retz. ○ 국명 정보 애기봄맞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봄맞이", 애기봄맞이라는 이름은 봄맞이보다 꽃을 비롯하여 형태가 작아서 붙여졌다. 꽃이 봄맞이에 비해 현저히 작고 꽃자루 등도 가늘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앵초과(Primulaceae) 봄맞이속(Androsace) 고산봄맞이 / 봄맞이 / 금강봄맞이 / 애기봄맞이 / 명천봄맞이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 한국 | 경남, 충북, 경기 이북의 원야 습지에 난다. ○ 형태 생육.. 2017. 11. 12.
오랑캐장구채(2) 오랑캐장구채(2) | 흰대나물, 북장구채, 가지대나물 O-rang-kae-jang-gu-chae Silene repens Patrin ○ 국명정보 오랑캐장구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오랑캐 + 장구채" 오랑캐장구채라는 이름은 오랑캐는 대개 만주를 포함한 한반도 북부에 분포한다는 뜻이거나 거친 모양새를 일컫는다. 따라서 이 식물이 북쪽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갈색 꽃받침통에 털이 많고 꽃잎이 크게 달려서 오랑캐란 말을 쓰고, 장구채를 닮았다는 뜻에서 장구채를 결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장구채속(Silene) 애기장구채 / 갯장구채 / 끈끈이대나물 / 분홍.. 2017.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