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두나무(2) | 앵도, 앵도나무
Aeng-du-na-mu
Prunus tomentosa Thunb.
재배식물
○ 국명정보
앵두나무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앵도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앵도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앵도 + 나무", 앵도나무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전래된 앵도(櫻挑)에서 비롯한 것으로, 벚(櫻)을 닮은 복숭아(挑) 같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앵(櫻)은 발음이 같고 꾀꼬리를 뜻하는 앵(鶯)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2. 앵두나무는 중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이름도 같이 따라 들어왔다. 중국에서는 처음 꾀꼬리 앵(鶯)과 복숭아 도(挑)를 써서 앵도라 했다. 그러다가 어린아이처럼 작은 복숭아라 하여 앵도(櫻挑)로 변했다. 한글맞춤법의 변화로 앵도나무>앵두나무가 되었다. 참고 : 박상진 <우리 나무 이름 사전>(2019)
○ 분류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개벚지나무 / 귀룽나무 / 매실나무 / 벚나무 / 복사앵도 / 복숭아나무 / 산개벚지나무 / 산벚나무 / 산복사 / 산이스라지 / 석도벚나무 / 섬벚나무 / 시베리아살구나무 / 앵도나무 / 왕벚나무 / 자도나무 / 가는잎벚나무 / 개살구나무 / 살구나무 / 이스라지나무 / 녹털귀룽나무 / 만첩개벗 / 서울귀룽나무(서울귀룽, 서울귀롱목) / 털개살구 / 털이스라지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 원산 | 전국에 널리 식재한다.
○ 형태
수형 낙엽활엽관목, 높이 2-3m정도 자란다.
수피 수피는 흑갈색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린가지 회갈색또는 적갈색이며 처음에는 털이 밀생하지만 차츰 떨어진다.
겨울눈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백색 털이 있다.
잎 어긋나며 길이 3-7cm의 난상 타원형-도란상 타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있으며, 특히 뒷면에 회색 털이 밀생한다. 잎자루는 2-4mm이며 짧은 털이 있다.
꽃 3-4월에 잎이 나기 전에 지름 1.5-2cm의 백색 또는 연한 홍색의 양성화가 줄에 1-2개씩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2mm로 짧으며 잔털이 밀생한다. 꽃잎은 넓은 도란형이며 끝이 둥글다. 꽃받침열편은 길이 2-3mm의 삼각상 난형이며 양면에 털이 밀생한다. 수술은 20-25개이고 꽃잎보다 짧다ㅏ. 암술대는 수술보다 약간 길고 긴 털이 밀생한다.
열매 핵과, 지름 1-1.2mm의 구형이며 5-6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 여적
바야흐로 앵도가 먹음직스럽게 익어가는 계절이다. 손주와 동네 한 바퀴 돌면서 교회 옆 도로가에서 빨갛게 익어가는 앵도나무를 만났다. 농 익은 것으로 하나를 따서 옷에 대충 닦고 입안에 넣어 맛을 보았다. 예전처럼 새콤달콤하다. 손주도 하남 먹어 보겠다고 따 달란다. 하나 따서 주었더니 먹어 보고 맛이 괜찮단다. 앵도하면 나는 어린 시절 산직이 집 옆 앵도나무가 어김없이 생각난다. 보리가 익어갈 무렵 앵도도 익어 간다. 보리를 벨 때 밭에 따라가서 산직이 집 옆 앵도를 한 움큼 따서 입에 넣고 먹으면 그땐 그게 그렇게 맛이 있을 수 없었다. 난 지금도 앵도를 보면 그때 그 시절 산직이 집 앵도나무와 앵도가 생각나서 꼭 하나라도 따서 먹어본다. 그때 그 맛은 아닐지라도 그때 생각만도 맛이 새롭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