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대으아리7

외대으아리(20240625) 외대으아리(20240625) | 고치대풀, 조령으아리Oe-dae-ui-a-riClematis brachyura Maxim.한반도특산종 ○ 국명정보외대으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고치대꽃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국명의 유래 "외대 + 으아리"의 합성어임. 꽃이 외대로 피는 으아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실제로 꽃차례당 1-3개씩 달리므로 반드시 외대인 것은 아니다. 전통적 명칭인 으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외대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으아리속(Clematis)개버무리 / 검종덩굴 / 고려종덩굴 / 누른종덩굴 / 바위종.. 2024. 6. 28.
외대으아리(5) 외대으아리(5) | 고치대풀, 조령으아리 Oe-dae-ui-a-ri Clematis brachyura Maxim. 한반도특산종 ○ 국명정보 외대으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고치대꽃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외대 + 으아리"의 합성어임. 꽃이 외대로 피는 으아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실제로 꽃차례당 1-3개씩 달리므로 반드시 외대인 것은 아니다. 전통적 명칭인 으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외대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으아리속(Clematis) 개버무리 / 검종덩굴 / 고려종덩굴 / 누른종덩굴 / 바위종덩.. 2022. 6. 7.
외대으아리(4) 외대으아리(4) | Oe-dae-ui-a-ri Clematis brachyura Maxim. 한반도특산종 ○ 국명정보 외대으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고치대꽃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외대 + 으아리"의 합성어임. 꽃이 외대로 피는 으아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실제로 꽃차례당 1-3개씩 달리므로 반드시 외대인 것은 아니다. 전통적 명칭인 으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외대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으아리속(Clematis) 개버무리 / 검종덩굴 / 고려종덩굴 / 누른종덩굴 / 바위종덩굴 / 병조회풀 / 사.. 2021. 6. 6.
외대으아리(3) 외대으아리(3) | Oe-dae-ui-a-ri Clematis brachyura Maxim. 한반도특산종 ○ 국명정보 외대으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고치대꽃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외대 + 으아리"의 합성어임. 꽃이 외대로 피는 으아리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실제로 꽃차례당 1-3개씩 달리므로 반드시 외대인 것은 아니다. 전통적 명칭인 으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외대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으아리속(Clematis) 개버무리 / 검종덩굴 / 고려종덩굴 / 누른종덩굴 / 바위종덩굴 / 병조회풀 / 사.. 2021.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