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양귀비(20240518)
개양귀비(20240518) | 虞美人草, 미인초, 꽃양귀비, 물감양귀비, 애기아편꽃, Gae-yang-gwi-biPapaver rhoeas L.화훼재배식물 ○ 국명정보개양귀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개 + 양귀비", 개양귀비라는 이름은 양귀비와 닮았으나 아편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虞美人草는 초나라 항우의 애첩 우미인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항우가 유방의 군대에 포위되자 우미인은 술자리에서 석별의 정을 읊는 항우의 시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 뒤 목숨을 끊었다고 하는데 나중에 우미인의 무덤에 개양귀비 꽃이 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
2024. 6. 24.
곰의말채나무(20240518)
곰의말채나무(20240518) | 곰말채나무, 곰의말채 Gom-ui-mal-chae-na-muCornus macrophylla Wall. ○ 국명정보곰의말채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곰말채나무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1. "곰의 + 말채나무", 곰의말채나무라는 이름은 곰이 사는 깊은 산속에서 자라는 말채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일본의 옛 수도 교토의 남쪽 미에현 구마노(熊野)라는 곳에 자생한다고 한다. 일본인들은 그 지명을 이름에 붙여 구마노미즈키(熊野水木)라 했다. 이것을 우리말로 가져오면서 곰을 뜻하는 앞 글자 구마(熊)의 뜻을 따오고, 노(..
2024. 6. 24.
털고광나무(20240518)
털고광나무(20240518) | 힌털고광나무, 흰털고광나무Teol-go-gwang-na-muPhiladelphus schrenkii var. jackii Koehne, 1911.※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서는 털고광나무를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 국명정보털고광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털 + 고광나무", 털고광나무라는 이름은 잎맥 위에 털이 있는 고광나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수국과(Hydrangeaceae) 고광나무속(Philadelphus) 서울고광나무 / 섬고광나무 / 양덕고광나무 / 고광나무 / 얇은잎고광..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