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397

린네풀 린네풀 | 린네덩굴 Rin-ne-pul Linnaea borealis L. ○ 국명정보 린네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린네 + 풀", 린네풀이라는 이름은 식물학의 분류체계를 세운 린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높은 산 숲속에서 낮고 작게 자라기 때문에 풀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실제로는 목본성 식물이다. 린네는 이 식물을 특히 사랑해서 이 식물은 나의 꽃이다. 라고 했고 속명을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직접 명명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린네풀아과(Linnaeoideae)>린네풀속(Linnaea) ※전통분류체계에서는 린네풀과(Linnaeaceae) 린네풀속(Linnaea)으로 따로 .. 2013. 8. 8.
애기괭이밥 애기괭이밥 | 산괭이밥, 애기괭이밥풀, 큰선괭이밥, 큰선괭이밥풀 Ae-gi-gwaeng-i-bap Oxalis acetosella L. ○ 국명정보 애기괭이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애기 + 괭이밥", 애기괭이밥이라는 이름은 큰괭이밥에 비해 식물체가 애기처럼 작고 귀엽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흰색 꽃이 피며 큰괭이밥에비해 식물체가 작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괭이밥과(Oxalidaceae) 괭이밥속(Oxalis) 괭이밥 / 덩이괭이밥 / 선괭이밥 / 자주괭이밥 / 큰괭이밥 / 애기괭이밥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 지역 북부 |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강원도, 제주.. 2013. 8. 8.
멍덕딸기 멍덕딸기 | 산멍덕딸기, 두메딸기, 긴잎멍석딸기, 멧딸기 Meong-deok-ttal-gi Rubus idaeus L. var. microphyllus Turcz. ○ 국명정보 멍덕딸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멍덕 + 딸기", 멍덕딸기라는 이름은 꽃과 열매의 모양이 벌통 위를 덮는 재래식 뚜껑인 멍덕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강원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어원은 향약채취월령에 기록된 차자 末應德達(멍덕ㅂ달)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자라는 모습이 마치 멍덕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멍덕은 '벌통 위를 덮는 재래식 뚜껑. 짚으로 틀어서 바가지 비슷하게 만든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장.. 2013. 8. 8.
명자순 명자순 | 조선까치밥나무, 일번까치밥나무, 참까치밥나무/좀까치밥나무 Myeong-ja-sun Ribes maximowizianum Komar. ○ 국명정보 명자순 : 조선박물연구회 (1943) 조선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명자순이라는 이름은 전남 방언을 채록한 것으로, 한자어 명자순(榠榨荀)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이들 한자어가 명자나무의 뜻을 가진 명(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명자는 명자나무를 닮은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고, 순은 새순을 식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즉 명사준이라는 이름은 나무의 모양 등이 명자나무를 닮았는데 어린 새순을 식용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 201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