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397

물앵도나무 물앵도나무 | 털괴풀, 물앵두나무, 털괴불나무, 물괴불나무, 물아귀꽃나무 Mul-aeng-do-na-mu Lonicera ruprechtiana Regel ○ 국명정보 물앵도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물 + 앵도나무", 물앵도나무라는 이름은 열매가 앵도(앵두)를 닮았는데 물기가 많아 맛이 덜하다는 뜻, 또는 앵도나무를 닮았는데 깊은 산 계곡가(물가)에 자란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괴불나무속(Lonicera) 댕댕이나무 / 개들쭉나무 / 넓은잎댕댕이 / 둥근잎댕댕이 / 지리괴불나무 / 각시괴불나무 / 털산괴불나무 / 넓을잎산괴불 / 절초나무.. 2013. 8. 12.
넓은잎까치밥나무 넓은잎까치밥나무 | 넓은잎까치밥 Neolbeun-ip-kka-chi-bap-na-mu Ribes latifolium Jancz. | 다른학명 ※처음 까막까지밥나무로 오동정한 것을 산유 님의 도움으로 넓은잎까치밥나무로 수정함 ○ 국명정보 넓은잎까치밥나무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넓은잎 + 까치밥나무", 넓은잎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까치밥나무와 비슷한데 상대적으로 더 넓은 잎이 달리는 까치밥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까치'와 '밤나무'의 합성어로, 강원 방언에서 유래했다. 이 나무의 열매를 까치가 잘 먹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높은 산 수림 속에서 자라므로 실제로 까치가 잘 먹는다기보다는 열매를 식용하기 곤란한 까마귀밥나무에 비해 식용하기에 좋은 열.. 2013. 8. 12.
나도범의귀(1) 나도범의귀(1) | 덩굴풀매화, 새납풀 Na-do-beom-ui-gwi Mitella nuda L. ○ 국명정보 나도범의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나도 + 범의귀", 나도범의귀라는 이름은 범의귀를 닮았으나 똑같지는 않다고 하여 붙여졌다.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나도범의귀속(Mitella) 나도범의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일본, 러시아(우수리, 시베리아), 북미, 한국 | 북부지방(함남북) 산지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가늘고 길게 자라며 실 같은 포복지가 벋는다. 잎 근생엽은 적고 난상 원형 또는 심장형으로 길이와 너비가 각각 15~35㎜이며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결각과 얕은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다소 있으며 엽병은 길.. 2013. 8. 12.
왜지치 왜지치 | 숲꽃마리, 숲물망초Wae-ji-chiMyosotis sylvatica Ehrh. ex Hoffm. | Myosotis sylvatica Hoffm. ○ 국명정보 왜지치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왜 + 지치",   왜지치라는 이름은 지치를 닮았으나 식물체의 크기가 작다(왜)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지치과(Boraginaceae) 개꽃마리속(Myosotis)  물방초 / 개꽃마리 / 왜지치 ○ 분포|자생지   동아시아, 유럽, 북미, 한국 | 북부 지방(함경남북도)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두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높이 20-.. 2013.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