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깽이나물
부지깽이나물 | 좀부지깽이, 부지깽이, 큰쑥왕부지깽이, 부지껑이나물, 노란냉이 Bu-ji-kkaeng-i-na-mul Erysimum amurense Kitag. ○ 국명정보 부지깽이나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부지깽이 + 나물", 부지깽이나물이라는 이름은 기다랗게 올라가는 줄기가 부지깽이로 사용하기 적당하고 나물로 식용한 것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부지깽이는 아궁이 따위에 불을 땔 때 불을 헤치거나 끝어내거나 거두어 넣거나 하는 데 쓴 가느스름한 막대기를 뜻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십자화과(Cruciferae) 쑥부지깽이속(Erysimum) 큰잎냉이 / 쑥부지깽이 / 부지깽이나물 / 서양말냉이 / 대청..
2013. 7. 17.
가는장대(2)
가는장대(2) | 꽃장대, 가는꽃장대, 가는장때 Ga-neun-jang-dae Dontostemon dentatus (Bunge) C.A.Mey. ex Ledeb. | Dontostemon dentatus (Bunge) Ledeb. ※지우 대효의 지적으로 큰꽃장대로 정리한 것을 가는장대로 수정함 ○ 국명정보 가는장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가는 + 장대", 가는장대라는 이름은 잎이 피침모양으로 좁은 장대나물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십자화과(Cruciferae) 가는장대속속(Dontostemon) 가는장대 / 큰꽃장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다후리아), 일본..
2013. 7. 17.
쇠채
쇠채 | 미역꽃 Soe-chae Scorzonera albicaulis Bunge ○ 국명정보 쇠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쇠 + 채", 쇠채라는 이름은 긴 줄기에 꽃봉오리 또는 열매가 맺힌 모양이 쇠채를 닮은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꽹과리를 쇠라고 하므로 쇠채는 꽹과리를 치는 채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봄에 어린잎을 채취해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치커리아과(Cichorioideae)>치커리족(Cichorieae)>쇠채속(Scorzonera) 쇠채 / 멱쇠채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한국 | 전국의 원야나 산기슭의 풀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근경 ..
2013. 7. 16.
큰솔나리
큰솔나리 | 큰중나리, 큰잎솔나리, 사초나리 Keun-sol-na-ri Lilium tenuifolium Fischer ○ 국명정보 큰솔나리 :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큰솔나리라는 이름은 잎이 솔잎 모양이고 솔나리에 비해 개체가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중나리보다 개체가 크다는 뜻에서 큰중나리를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큰솔나리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Lilium 백합속 날개하늘나리 / 노랑땅나리 / 땅나리 / 말나리 / 개말나리 / 나리 / 백합 / 섬..
2013. 7. 16.
자주황기
자주황기 | 자지황기, 자주꽃황기, 자주단너삼 Ja-ju-hwang-gi Astragalus dahuricus (Pall.) DC. ○ 국명정보 자지황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자주황기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자주 + 황기", 자주황기라는 이름은 자주색의 황기란 뜻으로 꽃이 자주색으로 피는 것에서 유래했다. 에서 자지황기>자주황기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콩과(Fabaceae) 황기속(Astragalus) 자주개황기 / 자주황기 / 정선황기 / 제주황기 / 염주황기 / 황기 / 긴꽃대황기 / 설령황기 / 갯황기 / 자운영 / 개황기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몽..
2013. 7. 16.
말발도리
말발도리 | 말발도리나무, 털말발도리, 속리말발도리, 태백말발도리 Mal-bal-do-ri Deutzia parviflora Bunge ○ 국명정보 말발도리 : 우리나라 식물명감 (박만규, 1949) 말발도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이시도야, 정태현 : (일본어)(1923) ○ 국명의 유래 1. "말발 + 도리"의 합성어임. 말발도리라는 이름은 강원 방언으로, 열매의 모양이 말굽(말 발)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말발도리나무로 기록했으나 에서 말발도리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말발도리란 국명은 5mm 남짓한 작고 앙증맞은 열매는 말발굽에 씌우는 편자 모양인데 유래한다. 도리는 아랫도리, 도리..
2013. 7. 16.
괴불나무
괴불나무 | 절초나무, 아귀꽃나무 Goe-bul-na-mu Lonicera maackii (Rupr.) Maxim. ○ 국명정보 괴불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아귀꽃나무 :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 국명의 유래 1. "괴불 + 나무", 괴불나무라는 이름은 꽃과 열매의 모양이 괴불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열매는 둥근 모양으로 2개씩 서로 떨어져서 달리고 가을에 붉게 익으면 식용했다. 자생지인 서울, 경기도의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괴불나무는 "괴+불+나무"의 합성어이다. '괴'는 고양이, '불'은 고환 '불알'을 뜻한다. 이 나무의 붉게 익은 두 개의 열..
2013. 7. 15.
산사나무
산사나무 | 산사(山楂), 아가위나무, 동배나무/아그배나무/애광나무/질배나무/찔구나무, 찔광나무(북한명) San-sa-na-mu Crataegus pinnatifida Bunge ○ 국명정보 산사나무(아가위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산사 + 나무", 산사나무라는 이름은 산에서 자라는 아가위나무를 뜻하는 한자어 산사수(山楂樹)에서 온 말이다. 산사나무의 옛 이름은 아가외나무인데 아가외는 아가(아기)와 외(오이)의 합성어로 둥근 열매가 아기처럼 작은 것에서 유래했다. 북한에서는 평북 방언에서 유래한 찔광나무라고 부르는데 가시가 있고 잎에 광이 나는 것과 관련이 있는 이름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중국 한자..
2013. 7. 15.
생열귀나무
생열귀나무 | 붉은인가목, 해당화, 뱀의찔네/가마귀밥나무/좀붉은인가목, 뱀찔네/산붉은인가목, 생열귀장미 Saeng-yeol-gwi-na-mu Rosa davurica Pall. ○ 국명정보 생열귀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생 + 열귀 + 나무", 생열귀나무라는 이름은 생(강조의 의미)과 열귀(아가위)와 나무(木)의 합성어로, 꽃과 열매 등이 아가위(산사나무 또는 해당화)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함경남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생은 생트집 또는 생때에서처럼 강조의 뜻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열귀는 아가위의 함경남도 방언에서 유래했다. 해당화 열매를 悅口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3.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