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불오리나무(2)
덤불오리나무(2) | 두메오리나무, 덤불오리, 묏불오리, 설령오리나무, 만주덤불오리나무(북한명) Deom-bul-o-ri-na-mul Alnus mandshurica (Callier ex C. K. Schneid.) Hand.-Mazz. | Alnus viridis (Chaix) DC. subsp. fruticosa (Rupr.) Nyman ○ 국명정보 덤불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덤불 + 오리나무"의 합성어로 숲속 덤불에서 자라는 오리나무라는 뜻으로 에서 신칭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오리나무속(Alnus) 덤불오리나무(두메오리나무) / 물오리나무(물갬나무, 산오리..
2013. 8. 1.
덤불오리나무(1)
덤불오리나무(1) | 두메오리나무, 덤불오리, 묏불오리, 설령오리나무, 만주덤불오리나무(북한명) Deom-bul-o-ri-na-mul Alnus mandshurica (Callier ex C. K. Schneid.) Hand.-Mazz. | Alnus viridis (Chaix) DC. subsp. fruticosa (Rupr.) Nyman ○ 국명정보 덤불오리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덤불 + 오리나무"의 합성어로 숲속 덤불에서 자라는 오리나무라는 뜻으로 에서 신칭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오리나무속(Alnus) 덤불오리나무(두메오리나무) / 물오리나무(물갬나무, 산오리..
2013. 8. 1.
넌출월귤(1)
넌출월귤(1) | 蔓越橘, 덤불월귤, 덩굴월귤 Neon-chul-wol-gyul Vaccinium oxycoccus L. ○ 국명정보 넌출월귤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덤불월귤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넌출 + 월귤", 월귤과 비슷한데 넌출져 자라는 특징에서 유래한다. ○ 분류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도나무속(Vaccinium) 넌출월귤 / 들쭉나무 / 모새나무 / 산매자나무 / 애기월귤 / 월귤 / 정금나무 / 산앵도나무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 북미 | 북부지방 양강도, 함남북 고산 습원에 난다. ○ 형태 수형 상록활엽 소관목, 수피 줄기는 철사처럼 가늘고 물이..
2013. 8. 1.
댕댕이나무
댕댕이나무 | 마자지, 댕강나무 Daeng-daeng-i-na-mu Lonicera caerulea L. ssp. edulis (Turcz. ex Herder) Hulten ○ 국명정보 댕댕이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댕댕이 + 나무", 댕댕이나무라는 이름은 열매가 검푸른 색이 나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긴 타원 모양의 열매가 가을에 검게 익는데 하얀 가루로 덮여 있어 푸른색이 돋는다. 열매를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괴불나무 / 구슬댕댕이 / 길마가지나무 / 물앵도나무 / 섬괴불나무 / 올괴불나무 / 왕괴불나무 / 인동 / 청괴불..
2013. 8. 1.
넌출월귤
넌출월귤 | 蔓越橘, 덤불월귤, 덩굴월귤 Neon-chul-wol-gyul Vaccinium oxycoccus L. ○ 국명정보 넌출월귤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덤불월귤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넌출 + 월귤", 월귤과 비슷한데 넌출져 자라는 특징에서 유래한다. ○ 분류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도나무속(Vaccinium) 넌출월귤 / 들쭉나무 / 모새나무 / 산매자나무 / 애기월귤 / 월귤 / 정금나무 / 산앵도나무 ○ 분포|자생지 한국, 일본, 중국(만주),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캄차카, 시베리아), 유럽, 북미 | 북부지방 양강도, 함남북 고산 습원에 난다. ○ 형태 수형 상록활엽 소관목, 수피 줄기는 철사처럼 가늘고 물이끼 속..
2013. 8. 1.
백산차(20130608)
백산차(20130608) | 白山茶, 노봉백산차, 북백산차, 왕백산차, 털백산차, 천도백산차Baek-san-chaLedum palustre L. var. decumbens Aiton ○ 국명정보백산차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백산 + 차" 라는 이름은 중국 지린성 백산 지역에서 나는 차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잎에 독특한 향기가 있고 잎을 차로 대용했다, 주로 함경북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 분류 진달래과(Ericaceae) 백산차속(Ledum) 백산차 / 좁은잎백산차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러시아(동부), 북아메리카, 유럽(중북부), 그린란드, 한국 | 북부지방 양강도, 함남북 등의 높은산 습기가 있는 곳에 자란다. ○ 형..
2013. 8. 1.
큰개미자리
큰개미자리 | 섬개미자리, 개개미나물, 너도개미자리, 좀개미자리, 좀개미나물, 섬개미나물 Keun-gae-mi-ja-ri Sagina maxima A. Gray ○ 국명정보 큰개미자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큰 + 개미자리" 큰개미자리라는 이름은 개미자리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종래의 개미자리로 통칭되었거나 별도의 이름이 없어, 전통 명칭 개미자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큰을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개미자리속(Sagina) 개미자리 / 큰개미자리 / 긴잎큰개미자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대만..
2013.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