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자순
명자순 | 조선까치밥나무, 일번까치밥나무, 참까치밥나무/좀까치밥나무 Myeong-ja-sun Ribes maximowizianum Komar. ○ 국명정보 명자순 : 조선박물연구회 (1943) 조선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명자순이라는 이름은 전남 방언을 채록한 것으로, 한자어 명자순(榠榨荀)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이들 한자어가 명자나무의 뜻을 가진 명(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명자는 명자나무를 닮은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고, 순은 새순을 식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즉 명사준이라는 이름은 나무의 모양 등이 명자나무를 닮았는데 어린 새순을 식용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
2013. 8. 8.
까막바늘까치밥나무
까막바늘까치밥나무 | 가막바늘까치밥나무, 가막반늘까치밥나무, 가마귀밥, 까마귀밥 Kka-mak-ba-neul-kka-chi-bapna-mu Ribes horridum Rupr. ex Maxim ○ 국명정보 까막바늘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가막바늘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까막 + 바늘까치밥나무", 까막바늘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과실이 검게 익고 잎자루와 줄기 등에 바늘모양의 가시가 밀생하는 까치밥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까치밥나무과(Grossulariaceae) 까치밥나무속(Ribes ) 까치밥나무 / 꼬리까치밥나무 / 넓은잎까치밥나무 / 눈까치밥나무 /..
2013. 8. 8.
명자순(1)
명자순(1) | 조선까치밥나무, 일번까치밥나무, 참까치밥나무/좀까치밥나무 Myeong-ja-sun Ribes maximowizianum Komar. ○ 국명정보 명자순 : 조선박물연구회 (1943) 조선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명자순이라는 이름은 전남 방언을 채록한 것으로, 한자어 명자순(榠榨荀)에서 유래했다고 추정한다. 이들 한자어가 명자나무의 뜻을 가진 명(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명자는 명자나무를 닮은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고, 순은 새순을 식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즉 명사준이라는 이름은 나무의 모양 등이 명자나무를 닮았는데 어린 새순을 식용한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
2013. 8. 7.
까치밥나무
까치밥나무 | 산앵도, 산정자, 鵲啄木(작탁목) Kka-chi-bap-na-mu Ribes mandshuricum (Maxim.) Komar. ○ 국명정보 까치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1. "까치밥 + 나무", 까치밥나무라는 이름은 강원 방언에서 유래했으며, 열매를 까치가 잘 먹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그러나 높은 산의 수림 속에서 자라므로 실제로 까치가 잘 먹는다기보다는 열매를 식용하기 곤란한 까마귀밥나무에 비해 식용하기에 좋은 열매가 열리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2. 가을에 콩알 굵기의 말랑말랑한 열매가 빨갛게 아래로 늘어져 달리는데 사람들이 길조로 생각하는 까치가 밥..
2013. 8. 7.
뫼제비꽃(1)
뫼제비꽃(1) | 뫼오랑캐, 묏오랑캐, 메제비꽃, 멧제비꽃, 산제비꽃 Moe-je-bi-kkot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 국명 정보 뫼오랑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뫼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뫼 + 제비꽃", 뫼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산(뫼)에 분포하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누운제비꽃 / 둥근털제비꽃 / 뫼제비꽃 / 미국제비꽃(종지나물) / 삼색제..
2013. 8. 7.
애기풍선난초
애기풍선난초 | 풍선난초, 애기숙갈난초, 주걱난초 Ae-gi-pung-seon-nan-cho Calypso bulbosa (L.) Oakes var. bulbosa ○ 국명정보 애기풍선난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애기 + 풍선난초", 애기풍선난초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애기처럼 작고, 꽃의 입술꽃잎이 마치 풍선처럼 부풀어 있는 모양에서 유래했다. ○ 분류 난초과(Orchidaceae) 애기풍선난초속(Calypo) 애기풍선난초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일본(북해도), 한국, 몽골, 러시아(사할린, 아무르 지역, 우수리,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 양강도(백두산), 자강도(갑산)의 침엽수림 이끼 많은 지역에 난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자생란 위인경 타원형, 길이..
2013. 8. 7.
비로용담
비로용담 | 비로봉용담, 비로과남풀, 비로룡담 Bi-ro-yong-dam Gentiana jamesii Hemsl. ○ 국명정보 비로용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비로 + 용담", 비로용담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비로용담(毘盧龍膽)으로, 금강산의 비로봉에 분포하는 용담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강원도 이북의 높은 산지에서 주로 자란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용담과(Gentianaceae) 용담속(Gentiana) 고산구슬붕이 / 구슬붕이 / 백두산구슬붕이 / 산용담 / 흰그늘용담 / 좀구슬붕이 / 과남풀 / 비로용담 / 연보라과남풀 / 용담 / 큰구슬붕이 / 흰비로용담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일본, 러시아(..
2013. 8. 6.
댕댕이나무(1)
댕댕이나무(1) | 마자지, 댕강나무 Daeng-daeng-i-na-mu Lonicera caerulea L. ssp. edulis (Turcz. ex Herder) Hulten ○ 국명정보 댕댕이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댕댕이 + 나무", 댕댕이나무라는 이름은 열매가 검푸른 색이 나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긴 타원 모양의 열매가 가을에 검게 익는데 하얀 가루로 덮여 있어 푸른색이 돋는다. 열매를 식용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괴불나무 / 구슬댕댕이 / 길마가지나무 / 물앵도나무 / 섬괴불나무 / 올괴불나무 / 왕괴불나무 / 인동 / ..
2013. 8. 5.
가는잎개별꽃(1)
가는잎개별꽃(1) | 가는개별꽃, 가는잎들별꽃, 가는잎미치광이, 숲개별꽃 Ga-neun-ip-gae-byeol-kkot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 국명 정보 가는잎개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가는잎미치광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가는잎 + 개별꽃", 가는잎개별꽃이라는 이름은 개별꽃을 닮았으나 잎이 가늘다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개별꽃속(Pseudostellaria) 개별꽃속 / 가는잎개별꽃 / 개별꽃 / 긴개별꽃 / 덩굴개별꽃/ 덩이뿌리개별꽃 / 산개별꽃 / 숲개별꽃 / 지리산개별꽃 / 참개별꽃 / 큰개별꽃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일본, 한국 ..
2013.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