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가시딸기(1)

by 풀꽃나무광 2022. 4. 14.

가시딸기(1) | 가시딸, 섬가시딸기

Ga-si-ttal-gi

Rubus hongnoensis Nakai | 다른학명

한국고유종

 

 국명정보

가시딸기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국명의 유래

"가시 + 딸기", 가시딸기라는 이름은 제주 방언 가시탈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어린 가지에은 간혹 가시가 있으나 줄기 잎 등에는 가시가 없다. 상록성 참나무의 열매(도토리)를 가시라 하고 산딸나무를 제주 방언으로 가시틀이라 하므로 가시딸기의 가시는 刺의 의미가 아니라 열매의 모양이 도토리와 비슷하게 생겼다는 뜻으로 추론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Rosaceae 장미과 > Rubus 산딸기속

가시딸기  Rubus hongnoensis Nakai

가시복분자딸기 Rubus schizostylus H. Lév.

거문딸기 Rubus trifidus Thunb.   

거제딸기 Rubus tozawae Nakai ex J.Y. Yang   

거지딸기 Rubus sorbifolius Maxim.

검은딸기 Rubus croceacanthus (H. Lév.) H. Lév.   

겨울딸기 Rubus buergeri Miq. 

긴잎단풍딸기 Rubus palmatus Thunb. 

긴잎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f. subcuneatus   

나무딸기 Rubus idaeus subsp. melanolasius Dieck ex Focke

노랑장딸기 Rubus hirsutus var. xanthoarpus Nakai

단풍딸기 Rubus palmatus var. coptophyllus (A. Gray) Kuntze

단풍잎복분자 Rubus chingii H.H. Hu   

맥도딸기 Rubus tozawae var. longisepalus J.Y. Yang 

멍덕딸기 Rubus idaeus L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L. 

미국오엽딸기 Rubus vestitus   

복딸나무 Rubus sorbifolius var. myriadenus (H. Lév. & Vaniot) T.B.Lee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Miq. 

붉은가시딸기 Rubus phoenicolasius Maxim.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Bunge   

서양산딸기 Rubus fruticosus L.   

섬나무딸기 Rubus takesimensis Nakai   

섬딸기 Rubus ribisoideus Matsum.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 L. f.

오엽딸기 Rubus ikenoensis H. Lév. & Vaniot

오엽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f. subpinnatus (Nakai) Nakai

장딸기 Rubus hirsutus Thunb.

제주산딸기 Rubus nishimuranus Koidz.

제주장딸기 Rubus hirsutus f. argyi (H. Lév.) W.T.Lee

줄딸기 Rubus oldhamii Miq.

진들딸기 Rubus chamaemorus L.

청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f. concolor (Koidz.) Sugim.

청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var. concolor (Nakai) J.Y. Yang

함경딸기 Rubus arcticus L.

호프잎딸기 Rubus humulifolius C.A. Mey.

흰곰딸기 Rubus phoeicolasius f. albiflorus

 

 분포 | 자생지
한국 |  제주도 서귀포의 폭포 부근 산기슭, 약간 그늘이 지고 햇빛이 잘 드는 산 주변부 및 길가에 주로 자란다.

 

 형태

수형  낙엽 떨기나무로 높이는 50cm 정도까지 자란다. 

수피/어린가지/겨울눈  줄기와 가지는 가시와 털이 없으나 가지는 샘점이 있다. 

  어긋나며,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1회 깃꼴겹잎이며, 5~11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다.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4~7cm이고,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겹톱니가 있다. 잎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앞·뒷면에 샘점이 있다. 

꽃  가지 끝에 1개씩 붙어 3~4월에 흰색으로 피며, 직경 3~4cm이다. 꽃잎은 도란형 또는 아원형으로 꽃받침열편보다 길다. 
열매  취과로 넓은 난형 또는 구형이며, 직경 1~2cm이고, 가을에 빨갛게 익는다

 

 동정 포인트

1. 이 종은 거문딸기에 비해 엽축에 가시와 샘털이 없으며 잎 양면에 샘점이 있어 구별된다.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오늘 지인의 소개로 자생지에 찾아가서 꽃이 만개한 가시딸기를 관찰했다. 얼핏 봐선 장딸기 같아 보인다. 복엽인데 소엽이 7개짜리가 많다. 루페로 관찰해 보니 잎 앞뒷면에 샘점이 참 많다. 맹아지와 원줄기에는 가시가 없이 밋밋하다. 그러나 꽃이 피는 잔가지의 줄기와 잎자루에는 잔가시가 있어 만져진다. 그런데 가시딸기에 대한 자원관이나 산림청 포털 기재문에는 가시가 없다고 되어 있다. 가시가 전혀 없는데 왜 가시딸기라고 하는 국명을 붙였겠는가? 포털이나 도감의 기재문이 잘못된 것은 아닐까? 

2022. 04. 03. 제주도 서귀포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로콜리  (0) 2022.04.15
삼지닥나무(2)  (0) 2022.04.15
붓순나무(4)  (0) 2022.04.12
긴사상자(3)  (0) 2022.04.11
줄딸기(3)  (0) 202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