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

별고사리(3)

by 풀꽃나무광 2022. 2. 14.

별고사리(3) | 이삭고사리

Byeol-go-sa-ri

Cyclosorus acuminatus (houtt.) Nakai ex H. Ito


○ 국명정보
별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

○ 국명의 유래 
"별 + 고사리", 별고사리라는 이름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별고사리속 식물은 유사한 속 식물과 비교할 때 잎 뒷면의 맥이 부분적으로 그물맥의 형태를 띠는 특징이 있는데, 그 맥 위의 포자낭군이 성숙하면 별 모양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별고사리속(Cyclosorus)

  검은별고사리 / 별고사리 / 털별고사리 / 탐라별고사리

 

 분포|자생지
 
  중국, 한국, 일본, 타이완, 인도네시아 및 세계의 아열대와 열대 지방 | 경남, 전남, 제주의 산 속 길가 등 비교적 해가 잘 비치는 곳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근경   길게 옆으로 포복하고 지름 3-4mm로 잎이 성기게 붙으며 인편이 있다.
   인편   피침형으로 갈색이며 길이 2-3mm이다.
   엽병   볏짚색이며 길이 15-50cm이고 털은 조락성으로 오래되면 거의 나출된다. 기부의 인편은 갈색이며, 피침형으로 길이 2-6mm이고 가장지리에 털이 있다.
   엽신   광피침형이며 2회 우상중열하고 길기 20-60cm, 너비 15-20cm로 기부는 좁아지지 않으며 측우편과 동일한 정우편이 있다. 우편의 기부는 절형이며 열편은 삼각상 장타원형이고 열편의 제1측맥이 옆의 열편 제1측맥과 연결되어 결각 부위로 연결되며 이 연장선상에 제2, 제3측맥이 연결된다.  
   자낭군  둥글며 열편의 가장자리와 중륵의 중간 또는 약간 가장자리에 치우쳐 위치하고 옆의 것과 붙기도 한다.
   포막   원신형으로 털이 있다.

  

 동정 포인트
1. 검은별고사리에 비해 습지에 자라지 않으며 우편의 기부는 절형으로 극히 짧은 자루가 있거나 없으며 제1열편이 약간 크다.  

2. 털별고사리에 비해 정우편이 뚜렷하다.  

3, 탐라별고사리는 엽신의 끝이 점차 좁아져서 정우편이 확실하지 않고, 연장선에 제2, 제3의 측맥이 연결되지 않는다.

 

 참고
   국립수목원 <한국식물 도해도감 2. 양치식물>

 

 여적 

2022. 02. 09. 제주도 도두봉
2022. 03. 22. 제주도 서귀포 효돈천

'한반도식물 > 양치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쪽잔고사리  (0) 2022.02.17
숫돌담고사리(1)  (0) 2022.02.17
수수고사리(?)  (0) 2022.02.13
선바위고사리(2)  (0) 2022.02.13
큰봉의꼬리(3)  (0) 2022.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