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며느리밑씻개(1)

by 풀꽃나무광 2021. 8. 28.

며느리밑씻개(1) | 며누리밑싳개(조선식물향명집), 가시모밀, 가시메밀, 며누리밑씻개, 가시덩굴여뀌, 북한명;사광이아재비(일제강점기 이전 명), 일본명; ママコノシリヌグイ(의붓자식의 밑씻개란 뜻), 영명 Prickled-vine smartweed, 향약명; 낭인(廊茵)

Myeo-neu-ri-mit-ssit-gae

Polygonum senticosum (Meisn.) Franch. & Sav.

 

○ 국명정보

며느리밑씻개 : 이춘녕, 안학수 <한국식물명감>(1963)

며누리밑싳개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며느리 + 밑씻개", 며느리밑씻개라는 이름은 고부간의 갈등을 나타내는 이야기와 연관이 있으며, 며느리가 사용하는 밑씻개(휴지, 똥닦개)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일본명 'ママコノシリヌグイ'은 의붓자식의 엉덩이 닦개라는 뜻인데 이 이름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마디풀과(Polygonaceae) 여뀌속(Persicaria) 

  가는개여뀌 / 가시여뀌 / 개여뀌 / 갯마디풀, 이삭마디풀 / 겨이삭여뀌 / 고마리 / 기생여뀌 / 긴미꾸리낚시 / 긴화살여뀌 / 끈끈이여뀌 / 나도미꾸리낚시 / 넓은잎미꾸리낚시 / 대동여뀌 / 마디풀 / 만주겨이삭여뀌 / 며느리밑씻개 / 며느리배꼽 / 물여뀌 / 미꾸리낚시 / 바늘여뀌 / 바보여뀌 / 봄여뀌 / 부산마디풀 / 산여뀌 / 새이삭여뀌 / 세뿔여뀌 / 여뀌 / 이삭여뀌 / 장대여뀌 / 좁은잎미꾸리낚시 / 쪽 / 큰옥매듭풀 / 털여뀌 / 흰꽃여뀌 / 흰여뀌 / 버들겨이삭여뀌 / 솜흰여뀌 / 큰끈끈이여뀌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극동부), 일본, 한국 | 전국의 들이나 물가에 자란다. 

 

 형태
   생육형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   길이 1-2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줄기는 네모가 진다. 엽병과 더불어 거슬러난 갈고리가시가 있으며 붉은빛을 띤다.

     호생하고 긴 엽병이 있으며 삼각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4-8cm로서 예두이며 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 엽병과 엽맥에 거슬러난 갈고리가시가 성글게 있다.

     양성화로서 7-8월에 피며 줄기나 가지 꼭대기 또는 엽액에 두상으로 달리고 화경에 잔털과 선모가 있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연한 홍색이지만 끝 부분은 적색이다. 암술은 1개이며 화주는 3개이다. 자방은 도란상 타원형이다. 

   열매  수과는 둥글지만 약간 세모가 지고 끝이 뾰족하다. 8-9월에 검게 익고 광택이 있다. 

 

 동정 포인트
 
1. 며느리밑씻개에 비해 잎자루가 방패 모양으로 붙고 끝이 둔하며 탁엽이 보다 크고 가시 외에는 털이 없다.-------------------------며느리배꼽  

2. 며느리배꼽에 비해 화수에 엽상포가 없고 잎은 방패 모양으로 붙지 않으며 탁엽은 작고 가시 외에 잔털이 있다.---------------------며느리밑씻개

 

 활용

 어린잎을 살짝 데치거나 생채를 나물로 무쳐 먹는다. 된장국 따위의 국거리로 쓰고 가루를 묻혀 튀김을 해 먹는다. 한방에서 땅 위에 나온 식물체를 낭인(廊茵)이라 하며, 약으로 쓴다.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며, 피를 소통시켜 주고 어혈(瘀血)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 치질, 습진 등의 증상에 쓴다.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화서 밑부분을 접시 같이 생긴 엽상포가 받치고 있지 않다. 

2021. 08. 28. 경기 양주 장흥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쥐손이풀(4)  (0) 2021.08.29
며느리배꼽(1)  (0) 2021.08.28
설악초(雪嶽草)(1)  (0) 2021.08.28
하늘바라기  (0) 2021.08.27
뚱딴지(1)  (0) 2021.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