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05. 23.
경기도 포천 국망봉 내려오는 계곡에서 만난 것이다.
괭이눈 종류인데 사진이 미비하여 동정이 어렵다.
연인산에서 만난 연노랑괭이눈과도 달라보인다.
▩ 한반도 자생 범의귀과(Saxifragaceae) 괭이눈속(Chrysosplenium) 검색표
1. 잎이 어긋남 2. 화기에 포엽이 노란색임(북한 분포)--------------시베리아괭이눈(C.alternifolium var. sibiricum Seringe ex DC.) 2. 화기에 포엽이 녹색 또는 연녹색임 3. 무성지 발달, 줄기잎과 무성지잎이 이형임-----------------------------애기괭이눈(C. flagelliferumF. Schmidt) 3. 무성지 미발달, 줄기잎과 근생엽이 동형임-----------------------------산괭이눈(C. japonicum(Maxim.) Makino) 1. 잎이 마주남 4. 꽃받침잎이 수평으로 펴짐-----------------------------------------------가지괭이눈(C. ramosumMaxim.) 4. 꽃받침잎이 수직으로 섬 5. 식물체에 털이 거의 없음 6. 수술은 8개, 무성지 말단의 잎이 로제트를 형성함-------------------------선괭이눈(C. pseudofaurieiH. Lev.) 6. 수술은 주로 4(-6)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가지가 갈라짐-------------------괭이눈(C. grayanum Maxim.) 5. 식물체에 털이 있음 7. 화기에 포엽의 색이 녹색(연녹색)임-----------------------------------흰털괭이눈(C. barbatumNakai) 7. 화기에 포엽의 색이 노란색 또는 연노랑색임 8. 무성지 잎 앞면에 털이 없음 9. 무성지 잎 앞면에 흰색 무늬가 있음----------------------------------누른괭이눈(C. flaviflorumOhwi) 9. 무성지 잎 앞면에 은(흰)색 점이 있음 10. 결실기에 무성지 엽액에서 얇은 가지 발달함----------기는괭이눈(C. epigealum J.W.Han & S.H.Kang) 10. 결실기에 무성지 길게 발달, 가지 3회 이상 분지함--------가지털괭이눈(C. ramosissimum Y.I.Kim & Kim) 8. 무성지 잎 앞면에 털이 있음 11. 꽃 진 후 무성지 줄기 발달 않고, 로제트 형성----천마괭이눈(C. valdepilosum (Ohwi) S.H.Kang & J.W.Han) 11. 꽃 진 후 무성지 줄기가 발달함 12. 무성지 줄기 아치형으로 발달함(백두산 분포)--------천지괭이눈(C. macrospermum Y.I.Kim & Y.D.Kim) 12. 무성지 줄기 길게 발달, 말단에 로제트 형성 안함-----연노랑괭이눈(C. aurebracteatum Y.I.Kim & Y.D.Kim) ###참고 일반인을 위한 식물분류 공개강좌(2019.04.25 )에서 한림대 김용인 교수 강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함 |
'한반도식물 > 미동정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루베리속 (0) | 2022.06.04 |
---|---|
Carex 속인데 이름이 뭘까? (0) | 2021.06.07 |
개별꽃속은 분명한데 (0) | 2021.04.24 |
개별꽃속은 분명한데 뭘까? (0) | 2021.04.15 |
Festuca glauca 'Elijah Blue' ? (0) | 2020.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