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쑥부지깽이

by 풀꽃나무광 2020. 5. 28.

쑥부지깽이 | 가는쑥부지깽이(신칭), 중국명 波齿糖芥 [bo chi tang jie-파치당개]

Ssuk-bu-ji-kkaeng-i

Erysimum macilentum Bunge | 이명 Erysimum cheiranthoides Linnaeus var. sinuatum Franchet; E. sinuatum (Franchet) Handel-Mazzetti; E. yunnanense Franchet.

귀화식물

※가는쑥부지깽이 => 쑥부지깽이로 변경(김진석 외2 <한국의 들꽃>)

 

 국명정보

-쑥부지깽이 : 김윤영 가는쑥부지깽이를 쑥부지깽이로 변경

-쑥부지깽이 Erysimum cheiranthoides Linnaeus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김윤영 가는쑥부지깽이(신칭)로 신칭 

 

 국명의 유래

쑥부지깽이라는 이름의 정확한 유래는 밝혀진 것이 없다. 다만 유사한 식물로 부지깽이나물이 있는 점에 비추어, 부지깽이라는 이름은 쑥과 부지깽이의 합성어로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회녹색이 도는 것에서 쑥이 연상되고 줄기가 길게 올라가는 식물체의 모습이 부지깽이나물을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배추과(Cruciferae)>쑥부지깽이속(Erysimum)

넓은쑥부지깽이, 쑥부지깽이, 부지깽이나물, 꽃무

 

분포 | 자생지
중국 100-2500m의 황무지, 도로변, 산비탈, 들판 등 | 경북 안동, 대구, 전북 남원, 경기 고양 등의 산과 들, 하천변 등에 난다.

 

형태

생육형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9-)20-70(-100) cm 정도로 자란다. 골이 파인다. 털은 기본적으로는 3-4갈래의 털이 있으나 때로 5갈래의 털이 섞인다. 줄기와 꽃자루에는 T자형의 털*이 있다(아래 도해 참조). 줄기는 직립하고 능선이 있으며 종종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로제트형이나, 결실기에 스러진다. 줄기 가장 아래쪽~중간 쪽 줄기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거나 없다. 잎몸은 선형, 피침형, 장타원형으로 (1-)2-7(-8) cm × (1.5-)2.5-10(-15) mm이다. 털은 대개 3-4개로 갈라진 돌기모가 있다. 잎밑는 쐐기 모양, 잎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의 이빨 모양,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 또는 거의 톱니가 없다. 잎끝은 뾰족하거나 둔하다. 가장 위쪽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종종 잎가장자리가 밋밋하다.

3-7에 피는데 산방상 총상꽃차례에 많은 꽃이 빽빽하게 달린다. 포는 없고, 결실기에 뚜렷이 신장한다. 열매 자루는 비스듬하게 위로 올라가게 달리며 가늘고 길이 3-7(-9)mm이고 열매보다 훨씬 가늘다. 꽃받침은 좁은 장타원형으로 2-3.5 × 0.4-0.7mm이고 주머니 모양이 아니다. 꽃잎은 밝은 황색으로 선형 내지 선상-도피침형으로 3.5-5(-5.5) × 0.3-0.5(-0.7)mm이고, 끝부분은 둔하다. 화조는 판연에서 분화하지 않는다(claw undifferentiated from limb). 화사는 황색으로 2-4mm; 꽃밥은 장타원형으로 0.4-0.7mm이다. 배주는 자방 당 (20-)30-60(-70)개이다.

열매 장각과, 선형, 원통형 또는 약간 4개의 각이 진 모양, 길이 (1-)2-3.5(-4)cm × 1-1.3mm, 염주형이고 화축에 직립에 가깝게 달리거나 경사하여 달린다. 종자는 장타원형, (0.6-)0.7-0.9(-1) × 0.4-0.5mm이다. valve에는 뚜렷한 중맥이 있고 표면에는 3-5갈래의 털이 있고, 안쪽에는 짧은 연모가 밀생한다. 3-7에 결실한다.

※위 기재문은 지우 대효가 중국식물지의 기재문(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1000204)을

번역한 것을 참고함.

 

동정 포인트

1. 쑥부지깽이(Erysimum cheiranthoides L.)에 비해 가는쑥부지깽이는 줄기가 다소 가늘고 엽폭 및 화피편의 폭이 좁다.

 

참고

중국식물지 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1000204

이우철<한국기준식물도감>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서는 학명 및 국명이 다음과 같다.

-쑥부지깽이 Erysimum macilentum Bunge, 1835.
-넓은쑥부지깽이 Eysimum cheiranthoides L., 1753.

 

여적

한국식물분류학회 제51회 정기학술대회 http://www.pltaxa.or.kr/html_2017/03/02_view.php?page=5&idx=118
초록제목 : Erysimum cheiranthoidesE. macilentum에 대한 고찰
연구자 김윤영P1, 김낙용2, 지성진3, 오상헌4, 임용표4



초록
정태현(1957)은 쑥부지깽이의 학명으로 Erysimum cheiranthoides var. japonicum H. Boissieu를 정명으로 사용하고 E. cheiranthoides L.을 이명으로 처리하면서 황해도, 평남, 함남에 분포한다고 기록하였으며, 이우철(1996)은 E. cheiranthoides L.를 정명으로 사용하고 E. macilentum Bunge을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임록재(1997)와 오병운(2007)과 더불어 국가표준식물목록, 국가생물종목록에도 E. cheiranthoides L.가 정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이창복(1980)과 이영노(1996)는 쑥부지깽이의 학명으로 E. macilentum Bunge를 사용하였다. 도감에는 이년초로서 개화기는 5-6월이며 중부 이북 및 대구, 안동에 자란다고 기재하였다. 국내에는 강원, 경기, 경북, 경남, 전남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모두 쑥부지깽이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를 통해 평창, 안동, 대구, 남원 일대에 자생하는 집단을 면밀하게 관찰한 결과, 평창 집단은 E. cheiranthoides로 확인되었으며, 안동, 대구, 남원 집단은 E. cheiranthoides와 유사하나 줄기가 다소 가늘고 엽폭 및 화피편의 폭이 좁은 E. macilentum Bunge로 확인되었다. E. cheiranthoides 의 국명은 ‘쑥부지깽이’가 타당하다고 판단되며, E. macilentum Bunge의 국명은 형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가는쑥부지깽이’로 신칭하였다.

이메일 epyoony@gmail.com

 

2020. 05. 25. 경기 고양 성사천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병초(3)  (0) 2020.05.29
쑥부지깽이(1)  (0) 2020.05.28
수수꽃다리(2)  (0) 2020.05.19
매발톱(2)  (0) 2020.05.19
애기메꽃(7)  (0) 2020.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