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왜모시풀(2)

by 풀꽃나무광 2020. 1. 8.

왜모시풀(2) | 모시풀, 개모시풀

Wae-mo-si-pul

Boehmeria longispica Steud.

 

○ 국명정보
왜모시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 I II>(1949)

○ 국명의 유래
"왜 + 모시풀",  왜모시풀이라는 이름은 왜(일본)에 흔하게 분포한다는 모시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분류
   쐐기풀과(Urticaceae) 모시풀속(Boehmeria)

  털긴모시풀 / 섬모시풀 / 모시풀 / 왕모시풀 / 개모시풀 / 제주모시풀 / 긴잎모시풀 / 좀깨잎나무 / 섬거북꼬리 / 거북꼬리 / 풀거북꼬리 / 제주긴잎모시풀 / 왜모시풀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중부 이남의 산야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총생하고 높이 80-90cm이며 둔한 모가 있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마주나고 난상 원형으로 길이 12-19cm이며 끝은 꼬리처럼 다소 길고 밑은 둥글며 양면에 털이 있다. 엽질은 약간 두껍고 거칠거칠하다. 위로 갈수록 톱니는 점차 커지며 3주맥이다. 엽병은 엽신보다 짧다.
    암수한포기로 7-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며 수상화서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하부에 수꽃꽃차례, 상부에 암꽃차례가 달리며 꽃은 구상으로 모인다.

   열매  수과로 작고 무배생식을 한다.

 

 동정 포인트
 
1. 개모시풀에 비해서 열질이 보다 두껍고 끝이 꼬리 모양으로 되며, 뒷면은 짧은 털이 보다 많고 암꽃의 모임이 서로 접해 있어 꽃차례가 가지를 치지 않는다.   

2. 개모시풀은 꽃차례에 가지를 친다.

 

모시풀속 검색표

 쐐기풀과 모시풀속의 동정은 쉽지 않다.  잎의 모양에 변이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개모시풀과 왜모시풀은 둘 다 잎은 마주나기 하지만 잎의 모양은 비슷해서 어렵다. 확실한 것은 화서를 봐야 알 수 있다. 이상태 <한국식물검색집>은 이렇다.

  1. 잎은 어긋난다.
     2. 가지와 엽병은 긴털 밀생, 잎은 난상 원형, 원추화서는 두상화서로 구성------------모시풀
     2. 가지와 엽병은 짧은 털 밀생, 잎은 광난형, 원추화서는 짧은 수상화서로 구성--------섬모시풀
  1. 잎은 마주난다.
     3. 잎은 장상, 결각이 없다. 화서는 가지를 치지 않는다.
        4. 잎은 끝이 3개로 깊게 갈라진다.--------------------------------------------거북꼬리
        4. 잎은 끝이 갈라지지 않는다.
            5. 거치의 아랫변이 윗변의 1/2이상이다. 긴 엽두의 꼬리는 엽신의 1/2 정도이다.-----좀깨잎나무
            5. 거치의 아랫변이 윗변의 1/2이하이다. 긴 엽두의 꼬리는 엽신의 1/3 이하이다
               6. 잎 양면에 털이 적다. 암꽃 화통 상부에 유모------------------------------긴잎모시풀
               6. 잎 양면에 털이 많다. 암꽃 화통 전체의 면에 유모
                   7. 잎은 심장저, 거치는 비슷한 크기이다.--------------------------------왕모시풀
                   7. 잎은 원저, 거치는 서로 다른 크기이다. 흔히 잎 끝은 중거치---------------왜모시풀
     3. 잎은 장상, 결각이 있다. 대부분 중거치치이다. 화서는 가지를 친다.---------------------개모시풀

 

▩ 왜모시풀과 개모시풀의 구별

   왜모시풀 개모시풀 
털(엽병, 엽맥) 경사모  개출모 
이삭  굵고  꽃 덩어리 사이의
간격이 거의 없이 조밀하다
왜모시풀에 비하여 이삭이 가늘고
꽃 덩어리 간격이 약간 느슨하게 벌어진다 
화서 분지 안함  분지한다 
톱니 잎 선단부에서만 중거치;  잎 대부분에 걸쳐 중거치 
참고 웹사이트  http://mikawanoyasou.org/data/yabumao.htm  http://mikawanoyasou.org/data/meyabumao.htm

참고; 대효의 블로그 http://blog.daum.net/daehyo/7810550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17. 07. 06. 제주도 동백동산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루귀(5)  (0) 2020.01.09
개지치(1)  (0) 2020.01.09
석곡(2)  (0) 2020.01.07
모시풀(2)  (0) 2020.01.07
멀구슬나무(1)  (0) 202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