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우뭇가사리(?)
Gelidium minimum K.M. Kim,I.K. Hwang,H.S. Yoon & S.M. Boo 2012
○ 분류
Rhodophyta 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 진정홍조강 > Gelidiales 우뭇가사리목 > Gelidiaceae 우뭇가사리과 > Gelidium 우뭇가사리속
Species amansii(굵은참우뭇가사리)
Species australe(호주우뭇가사리)
Species coreanum(참우뭇가사리)
Species corneum(골우뭇가사리)
Variety pinnatum(깃우뭇가사리)
Species crinale(다발우뭇가사리)
Species divaricatum(애기우뭇가사리)
Species elegans(우뭇가사리)
Species eucorneum(뿔우뭇가사리)
Species galapagense(조막손우뭇가사리)
Species isabelae(이사벨우뭇가사리)
Species japonicum(왜우뭇가사리)
Species jejuensis(제주우뭇가사리)
Species johnstonii(존스튼우뭇가사리)
Species linoides
Species longiramulosum
Species microphysa(작은잎우뭇가사리)
Species minimum(작은우뭇가사리)
Species pacificum(왕우뭇가사리)
Species prostratum(누운우뭇가사리)
Species purpurascens(붉은우뭇가사리)
Species pusillum(실우뭇가사리)
Variety cylindricum(통실우뭇가사리)
Variety pacificum(대양실우뭇가사리)
Variety pulvinatum(방석실우뭇가사리)
Species sesquipedale(가시우뭇가사리)
Species spinosum(깃가지우뭇가사리)
Species tenue(엷은우뭇가사리)
Species vagum(막우뭇가사리)
○ 개요
식물체는 보라색을 띤 붉은색으로, 몸길이는 0.2~1.0cm, 매우 작은 다발 모양으로 여러 개의 엽상체가 엉켜 자란다. 포복부는 원주상이고, 헛뿌리는 붓 모양으로 뭉쳐난다. 직립부는 원주상이고, 포복성을 보이기도 하며, 폭이 100~300μm이며 높이는 약 1cm 정도가 된다. 가지는 드물게 불규칙하게 깃꼴로 약 2회 정도 분지한다. 정단세포는 반구형이고 뾰족하며, 피층(皮層, 껍질켜)은 3~4열의 신장된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조간대의 조수 웅덩이에 암반이나 무절 산호류에 착생하고, 개우무 또는 구멍갈파래와 혼생한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제주도에 생육한다.
○ 참고
○ 여적
덩굴민백미꽃을 만나보러 구좌읍 종달리해변을 찾아갔다. 간밤에 바람이 거세게 불어 파도가 높았나 보다. 몇몇 사람들이 물이 썬 바닷가에서 뭔가를 채취한다. 간밤에 밀려 온 우뭇가사리 종류를 모으고 있다. 우뭇사가사리는 그 쓰임새가 다양하다. 정확한 종명은 알 수 없다. 검색을 해보니 제주산 우뭇가사리 4종에 대한 발표 논문이 있어 사진을 보니 그 색깔이 가장 닮아보여 우선 작은우뭇가사리가 아닐까 싶다. 우뭇가사리를 얼려 말린 것이 한천이다. 한천은 식품첨가용으로 쓰이는 외에 공업용으로 많이 쓰인다. 농업용으로는 살충제·농약안정제으로도 쓰이고, 각종 화장품용·의약용으로 널리 쓰일 뿐만 아니라, 학술연구용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한천이 외국에 많이 수출되고는 있으나 학술연구용의 순도가 높은 한천은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영덕 사람들은 이것을 천초라고 한다. 물을 뿌려 가며 하얗게 바랜 후 뻘을 제거하고 물에 넣고 끓여 한천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