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초과

나래사초(1)

by 풀꽃나무광 2015. 5. 17.

나래사초(1) | 작은구슬사초(북한명)

Na-rae-sa-cho

Carex egena H. Lev. & Van.


○ 국명정보
나래사초 : ?

○ 국명의 유래 
"나래 + 사초", 나래사초라는 이름은 줄기가 3릉형의 예리한 날개(나래)가 나 있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yperales 사초목 > Cyperaceae 사초과 > Carex 사초속

가는사초 / 가는잎보리사초 / 가지청사초 / 갈미사초 / 감둥사초 / 개바늘사초 / 개찌버리사초 / 갯보리사초 / 갯사초 / 검정타래사초 / 겨사초 / 겹개구리사초 / 골사초 / 곱슬사초 / 괭이사초 / 구름사초 / 구슬사초 / 그늘사초 / 그늘흰사초 그물사초 / 긴목포사초 / 길뚝사초 / 까락사초 / 꼬랑사초 / 나도그늘사초 / 나도별사초 / 낚시사초 / 난사초 / 난쟁이사초 / 넓은잎그늘사초 / 넓은잎피사초 / 녹빛사초 / 논두렁사초 / 눈사초 / 늪사초 / 대구사초 / 대사초 / 대암사초 / 대택사초 / 덕진사초 / 덩굴사초 / 도깨비사초 / 들사초 / 레만사초 / 만주사초 / 목포사초 / 묏풀사초 / 무늬사초 / 무산사초 / 물사초 / 밀사초 / 바늘사초 / 바랭이사초 / 바위사초 / 바위포기사초 / 반들사초 / 백두사초 / 별사초 / 북사초 / 산괭이사초 / 산꼬리사초 / 산뚝사초 / 산바늘사초 / 산비늘사초 / 산사초 / 산양지사초 / 산양지사초 / 산이삭사초 / 산타래사초 / 삿갓사초 / 새방울사초 / 서수라사초 / 선사초 / 솔잎사초 / 쇠낚시사초 / 숲이삭사초 / 실사초 / 실이삭사초 / 실청사초 / 싸래기사초 / 쌀사초 / 애괭이사초 / 애기감둥사초 / 애기바늘사초 / 애기사초 / 애기이삭사초 / 애기천일사초 / 애기흰사초 / 양덕사초 / 양뿔사초 / 양지사초 / 언덕사초 / 얼룩사초 / 엷은갈미사초 / 염낭사초 / 염주사초 / 왕밀사초 / 왕비늘사초 / 왕삿갓사초 / 유성사초 / 융단사초 / 이삭사초 / 이삼사초 / 인제사초 / 일본사초 / 잔솔잎사초 / 장군대사초 / 조선사초 / 조이삭사초 / 좀도깨비사초 / 좁쌀사초 / 줄사초 / 중삿갓사초 / 쥐방울사초 / 지리대사초 / 진남포사초 / 진들사초 / 진퍼리사초 / 참뚝사초 / 참삿갓사초 / 천일사초 / 청사초 / 청피사초 / 층실사초 / 큰검정사초 / 큰뚝사초 / 큰물삿갓사초 / 큰산사초 / 큰천일사초 / 타래사초 / 털대사초 / 털사초 / 털잎사초 / 통보리사초 / 포기사초 / 포태사초 / 폭이사초 / 피사초 / 한라사초 / 함북사초 / 해산사초 / 햇사초 / 호밀사초 / 화산곱슬사초 / 화살사초 / 회령사초 / 회색사초 / 훌라벨라타사초 / 흰꼬리사초 / 흰사초 / 흰이삭사초 / 가는잎그늘사초 / 갈사초 / 갈색사초 / 갯청사초 / 금강산사초 / 까락겨사초 / 노끈사초 / 녹빛실사초 / 도랭이사초 / 뚝사초 / 모래사초 / 물삿갓사초 / 민숲이삭사초 / 벌사초 / 별풍경사초 / 부리실청사초 / 산바눌사초 / 설령사초 / 쇠풍경사초 / 실피사초 / 애기반들사초 / 여우꼬리사초 / 왕그늘사초 / 잡골사초 / 주름사초 / 지리실청사초 / 집사초 / 홍노줄사초 / 무늬지리대사초

 

 분포|자생지
 
  중국, 한국 | 전국의 숲에 흔히 나며 고산습지에 자라는 쇠낚시사초와 외모, 자생지가 확연히 다르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지하경  근경은 짧다.

   줄기  빽빽하게 모여 난다. 높이 30-100cm, 눌린 삼릉형이며, 매끈하고 기부 잎집은 자홍색이며 잎몸이 없다.

     줄기보다 짧고 폭 5-8mm, 편편하고, 두드러우면 끝은 뾰족하다. 포엽은 잎 모양이고 화서보다 짧고 잎집이 길다.

     소수는 3-4개로 떨어져 달리고, 정생소수는 웅성으로 장타원상 피침형 혹은 원주형, 2-3cm, 긴 자루가 있다. 측생소수는 자성으로 보통 3-6개의 꽃이 성글게 달리고, 자루는 아주 가늘고 늘어진다. 자인편은 황갈색~황백색으로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5-6mm, 녹색의 3맥이 있다, 중륵은 예두에서 그친다. 과낭은 황록색이며 자인편보다 길고 난형 또는 타원형, 삼릉형, 6-7mm, 무모, 많은 맥이 있다. 밑은 쐐기형으로 짧은 대가 있고 끝은 갑자기 줄어들어 가늘고 긴 부리로 되고 구부는 가위 모양이다.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수과, 볏짚색이며 넓은 도란형~난형, 삼을형, 205-3mm, 암술대 밑이 굵어지지 않으며 꾸불꾸불하지 않다.

 

 동정 포인트
1. 쇠낚시사초에 비해서 화서의 수과가 엉성하며 적게 달린다.--------------나래사초  

2. 나래사초에 비해 화서의 수과가 훨씬 조밀하게 많이 달린다.------------쇠낚시사초(Carex papulosa Boott)

 

 참고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JtsG&articleno=6995156#

 

 여적 

 북한의 조선식물지에 의하면 중부지방에서 흔하게 보는 아래와 같은 이미지의 사초는 낚시사초, 쇠낚시사초가 아니라 나래사초라는 게 확인되었다고 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이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나와 있는 쇠낚시사초(Carex filipes Franch. & Sav.)는 나래사초를 오동정한 것이다. 일본 사이트에서 확인한 쇠낚시사초의 세밀화는 다음과 같아서 나래사초(Carex egena H. Lev. & Van.)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JtsG&articleno=6995156#

그래서 처음 쇠낚시사초로 정리한 것을 나래사초로 수정한다.

 

2006. 04. 16. 경기 남양주 천마산

 

 

 

 

 

 

 

 

 

 

 

 

 

 

2015. 05. 16. 광릉수목원

 

'사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단사초(1)  (0) 2015.05.17
바늘사초(1)  (0) 2015.05.17
골사초  (0) 2015.05.17
경성사초  (0) 2015.05.17
타래사초  (0) 201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