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자주괭이밥(1)

by 풀꽃나무광 2014. 6. 12.

자주괭이밥(1) | 넓은잎괭이밥, 도라지괭이밥

Ja-ju-gwaeng-i-bap

Oxalis corymbosa DC.  

귀화식물

 

○ 국명정보
자주괭이밥 :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 국명의 유래 
"자주 + 괭이밥",   자주괭이밥이라는 이름은 꽃이 자주색으로 피는 괭이밥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괭이밥과(Oxalidaceae) 괭이밥속(Oxalis)

  괭이밥 / 덩이괭이밥 / 선괭이밥 / 자주괭이밥 / 큰괭이밥 / 애기괭이밥

 

 분포|자생지
 
  남아메리카 원산 | 재배한던 것이 야생화되어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등의 들이나 밭의 양지바른 곳, 길가, 공터 등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많은 비늘줄기를 만들어서 증식한다.
     대개 뿌리에서 생기며 3소엽이고 소엽은 도심장형으로 길이 2-3.5cm이며 뒷면 잎 가장자리 근처에 황적색의 작은 점이 있다.
     5-10월에 피며 산형화서는 5-7개의 꽃으로 이루어지고 꽃자루는 30cm에 이른다. 꽃의 지름은 1.7cm 정도로 담적색이고 꽃받침은 5개로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5mm이고 끝 쪽 가까이 2개의 황적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10개로 바깥쪽 5개는 짧고 안쪽의 것은 길며 꽃밥은 백색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다.
 

 동정 포인트 
 
1. 땅속에 다수의 비늘줄기를 만들어 증식하며 꽃의 수가 5-7개로 보다 적다. 또한 꽃밥이 백색이다.-------자주괭이밥

 1. 땅속에 덩이줄기가 있고 화서에 꽃이 3-25개로 많은 편이다. 또한 꽃밥이 황색이다.----------------------덩이괭이밥

 

▩ 덩이괭이밥과 자주괭이밥 세밀화 대조 (박수현, 한국의 귀화식물=>야생화교실 http://wildflower.kr/xe/wfc_08/4155038에서 캡처함) 




 

참고
   박수현 <한국의 귀화식물>

 

여적

 

-덩이괭이밥은 꽃밥이 노란색인 데에 비해 자주괭이밥은 꽃밥이 흰색이다. 또한 5-7개의 꽃이 산형화서에 달린다. 

-비후한 뿌리 위쪽에 많은 비늘줄기를 만들어 증식한다.

2014. 06. 05. 제주도 서귀포
2017. 07. 07. 제주도 우도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거리나무  (0) 2014.06.12
천선과나무  (0) 2014.06.12
나도생강  (0) 2014.06.12
얼룩닭의장풀  (0) 2014.06.12
홍노도라지  (0) 201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