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계령풀3

한계령풀(2) 한계령풀(2) | 메감자 Han-gye-ryeong-pul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S. Moore) Takht. | 이명 Leontice microrrhyncha S. Moore ※북방계식물 ○ 국명정보 한계령풀 :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한계령 + 풀", 한계령풀이라는 이름은 처음 발견되어 기재될 때의 자생지가 설악산 '한계령'인 데서 유래한다. 북한명인 '메감자'란 국명은 '산에 나는 감자'란 뜻인데, 둥근 덩이뿌리가 감자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다. ○ 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한계령풀속(Gymnospermium) 한계령풀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 | 북부지방, 강원도(설악산, 가리왕산, 금대봉, 오대산,.. 2020. 5. 10.
한계령풀(1) 한계령풀(1) | 메감자 Han-gye-ryeong-pul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S. Moore) Takht. | 이명 Leontice microrrhyncha S. Moore ※북방계식물 ○ 국명정보 한계령풀 :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한계령 + 풀", 한계령풀이라는 이름은 처음 발견되어 기재될 때의 자생지가 설악산 '한계령'인 데서 유래한다. 북한명인 '메감자'란 국명은 '산에 나는 감자'란 뜻인데, 둥근 덩이뿌리가 감자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다. ○ 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한계령풀속(Gymnospermium) 한계령풀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 | 북부지방, 강원도(설악산, 가리왕산, 금대봉, 오대산,.. 2018. 5. 17.
한계령풀 한계령풀 | 메감자 Han-gye-ryeong-pul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S. Moore) Takht. | 이명 Leontice microrrhyncha S. Moore ※북방계식물 ○ 국명정보 한계령풀 :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국명의 유래 "한계령 + 풀", 한계령풀이라는 이름은 처음 발견되어 기재될 때의 자생지가 설악산 '한계령'인 데서 유래한다. 북한명인 '메감자'란 국명은 '산에 나는 감자'란 뜻인데, 둥근 덩이뿌리가 감자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다. ○ 분류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한계령풀속(Gymnospermium) 한계령풀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러시아 | 북부지방, 강원도(설악산, 가리왕산, 금대봉, 오대산, 점봉.. 2014.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