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모람3 왕모람(1) 왕모람(1) | 모람낭(제주), 애기모람 Wang-mo-ram Ficus pumila L. , 1753. | Ficus thunbergii Maxim. ○ 국명 유래 1. 모람은 제주방언 모람쿨( 2021. 3. 3. 애기모람(1) 애기모람(1) | 모람낭/모람줄(제주), 왕모람Ae-gi-mo-ramFicus pumila L. 1753 not Thunb. 1786 | FicusthunbergiiMaxim. | 원기재명 Ficus fauriei H. Lév. & Vaniot※기존 왕모람을 애기모람으로 변경함 ○ 국명정보왕모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애기모람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3)○ 국명의 유래"애기 + 모람", 애기모람이라는 이름은 잎이 애기처럼 작은 모람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뽕나무과(Moraceae) 무화과나무속(Ficus) 모람 / 무화과나무 / 왕모람 / 인도고무나무 / 천선과나무 / 좁은잎천선과나무.. 2014. 10. 8. 애기모람(20121122) 애기모람(20121122) | 모람낭/모람줄(제주), 왕모람Ae-gi-mo-ramFicus pumila L. 1753 not Thunb. 1786 | Ficus thunbergii Maxim. | 원기재명 Ficus fauriei H. Lév. & Vaniot※기존 왕모람을 애기모람으로 변경함 ○ 국명정보 왕모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애기모람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3)○ 국명의 유래 "애기 + 모람", 애기모람이라는 이름은 잎이 애기처럼 작은 모람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뽕나무과(Moraceae) 무화과나무속(Ficus) 모람 / 무화과나무 / 왕모람 / 인도고무나무 / 천선과나무 /.. 2014. 10.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