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잎꿩의비름2

세잎꿩의비름(1) 세잎꿩의비름(1) | 제주꿩의비름 Se-ip-kkwong-ui-bi-reum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 Ohba ○ 국명정보 세잎꿩의비름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세잎 + 꿩의비름", 세잎꿩의비름이라는 이름은 줄기에 잎이 3장씩 돌려나는 꿩의비름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꿩의비름속(Hylotelephium) 꿩의비름 / 둥근잎꿩의비름 / 새끼꿩의비름 / 섬꿩의비름 / 세잎꿩의비름 / 자주꿩의비름 / 큰꿩의비름 / 키큰꿩의비름 ○ 분포|자생지 중국(동부), 러시아(사할린, 캄차카), 일본, 한국 | 전국 산지, 비교적 고도가 낮고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 풀밭 또는 능선 돌 틈에 자란다. ○ 형.. 2017. 11. 29.
세잎꿩의비름 세잎꿩의비름 | 제주꿩의비름 Se-ip-kkwong-ui-bi-reum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 Ohba, 1977. | 학명이명 Sedum verticillatum L., 1753. ○ 국명정보 새끼꿩의비름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싹눈꿩의비름 :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 국명의 유래 "새끼 + 꿩의비름" 새끼꿩의비름이라는 이름은 살눈(새끼)이 있는 꿩의비름이라는 뜻이며 학명의 종소명 'viviparum(살눈이 있는)'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꿩의비름을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새끼를 추가해서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4.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