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덕이(1)
새덕이(1) | 힌새덕이, 흰새덕이, 흰생덕이, 흰새덕이나무 Sae-deok-i Neolitsea aciculata (Blume) Koidz ○ 국명정보 새덕이 : 이창복 (1969) 힌새더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새덕이라는 이름은 제주 방언 '흰ㅅ·ㅣ덕이'에서 유래했다. 일설에는 신 밑창처럼 몸이 납작한 바닷물고기 서대기와 비슷한 잎을 가진 나무를 뜻한다고 하지만 물고기 서대기의 제주 방언은 서대, 서치, 섯으로 그 어형과 발음에서 차이가 있다. 생달나무의 제주 방언이 사다기낭, 사닥낭인 점에 비추어보면 오히려 이와 유사해 사다기낭에서 대한 발음이 변하여 된 것으로 보인다. '흰ㅅ·ㅣ덕이'는 흰과 ㅅ·ㅣ덕이의 합성어로, 잎 뒷면이 흰색이고 잎의 모양이 생달나..
2018. 10. 6.
새덕이
새덕이 | 힌새덕이, 흰새덕이, 흰생덕이, 흰새덕이나무 Sae-deok-i Neolitsea aciculata (Blume) Koidz ○ 국명정보 새덕이 : 이창복 (1969) 힌새더기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새덕이라는 이름은 제주 방언 '흰ㅅ·ㅣ덕이'에서 유래했다. 일설에는 신 밑창처럼 몸이 납작한 바닷물고기 서대기와 비슷한 잎을 가진 나무를 뜻한다고 하지만 물고기 서대기의 제주 방언은 서대, 서치, 섯으로 그 어형과 발음에서 차이가 있다. 생달나무의 제주 방언이 사다기낭, 사닥낭인 점에 비추어보면 오히려 이와 유사해 사다기낭에서 대한 발음이 변하여 된 것으로 보인다. '흰ㅅ·ㅣ덕이'는 흰과 ㅅ·ㅣ덕이의 합성어로, 잎 뒷면이 흰색이고 잎의 모양이 생달나무(사..
2014.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