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과8

홀아비바람꽃(20240418) 홀아비바람꽃(20240418) | 홀애비바람꽃, 호래비바람꽃, 외대바람꽃, 좀바람꽃, 홀바람꽃 Hol-a-bi-ba-ram-kkot Anemone koraiensis Nakai 홀아비바람꽃 https://ihogyun.tistory.com/2762568 ○ 국명정보 홀아비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홀애비바람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홀아비 + 바람꽃", 홀아비바람꽃이라는 이름은 꽃대가 보통 하나씩 달리는 것에서 홀아비가 연상되고 바람꽃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홀애비바람꽃을 표기법에 맞추어 에서는 홀아비바람꽃으로 개칭했다. 홀아비는 형태적 특징에서, 바람꽃은 학명에 착안해서 신칭한 이름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2024. 4. 19.
Anemonoides blanda (20240320) Anemonoides blanda (20240320) | 영문명 Balkan anemone, Grecian windflower, winter windflower 아네모노이데스 블란다 Anemonoides blanda (Schott & Kotschy) Holub | 이명 Anemone blanda Schott & Kotschy ※종소명 blanda는 "온화한" 또는 "매력적인"을 의미한다.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 아네모노이데스속 Anemonoides 아네모노이데스 블란다 Anemonoides blanda (Schott & Kotschy) Holub ○ 분포 | 자생지 남동부 유럽에서 터키와 레바논을 거쳐 중동의 시리아 서부 분포, 독일, 캐나다와.. 2024. 4. 1.
복수초(4) 일상이 정지된 코로나 역병 속에 복수초 꽃망울이 먼저 봄을 열고 있네 언 땅 녹이고 홍릉 숲 모퉁이에 복수초(4) | 福壽草, 눈색이꽃, 복풀, 아도니스초/얼음꽃/얼음새꽃, 애기복수초, 땅복수초, 측금잔화, 얼음새기꽃 Bok-su-cho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 국명정보 복수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복수초" 라는 이름은 한자어 福壽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복과 장수를 축원한다는 뜻이다. 한중일 모두 복수초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방언 및 문헌 기록에 의하면 '얼을새출, 얼음꽃, 얼음새기꽃' 등은 복수초를 일컫는 우리말로 최근 생겨난 것이 아니라 실제 민간에서 불려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2021. 1. 31.
복수초(3) 복수초(3) | 福壽草, 눈색이꽃, 복풀, 아도니스초/얼음꽃/얼음새꽃, 애기복수초, 땅복수초, 측금잔화, 얼음새기꽃 Bok-su-cho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 국명정보 복수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복수초" 라는 이름은 한자어 福壽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복과 장수를 축원한다는 뜻이다. 한중일 모두 복수초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방언 및 문헌 기록에 의하면 '얼을새출, 얼음꽃, 얼음새기꽃' 등은 복수초를 일컫는 우리말로 최근 생겨난 것이 아니라 실제 민간에서 불려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복수초속(Adonis) 가지복수.. 2020.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