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화말발도리5

매화말발도리(4) 매화말발도리(4) | 삼지말발도리, 개말발도리, 댕강목/좁은잎댕강목/해남말발도리, 좁은잎말발도리, 새가지털말발도리, 지이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 Mae-hwa-mal-bal-do-ri Deutzia uniflora Shirai ○ 국명정보 매화말발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매화 + 말발도리"의 합성어임. 매화말바도리라는 이름은 꽃이 매화를 닮은 말발도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전통 명칭 말발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매화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말발도리속(Deutzia) => APGIV 분류체계 322.수국과(Hydrangeaceae).. 2021. 4. 29.
매화말발도리(3) 매화말발도리(3) | 삼지말발도리, 개말발도리, 댕강목/좁은잎댕강목/해남말발도리, 좁은잎말발도리, 새가지털말발도리, 지이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 Mae-hwa-mal-bal-do-ri Deutzia uniflora Shirai ○ 국명정보 매화말발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매화 + 말발도리"의 합성어임. 매화말바도리라는 이름은 꽃이 매화를 닮은 말발도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전통 명칭 말발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매화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말발도리속(Deutzia) => APGIV 분류체계 322.수국과(Hydrangeaceae).. 2020. 4. 22.
매화말발도리(2) 매화말발도리(2) | 삼지말발도리, 개말발도리, 댕강목/좁은잎댕강목/해남말발도리, 좁은잎말발도리, 새가지털말발도리, 지이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 Mae-hwa-mal-bal-do-ri Deutzia uniflora Shirai ○ 국명정보 매화말발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매화 + 말발도리"의 합성어임. 매화말바도리라는 이름은 꽃이 매화를 닮은 말발도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전통 명칭 말발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매화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말발도리속(Deutzia) => APGIV 분류체계 322.수국과(Hydrangeaceae).. 2017. 12. 12.
매화말발도리(1) 매화말발도리(1) | 삼지말발도리, 개말발도리, 댕강목/좁은잎댕강목/해남말발도리, 좁은잎말발도리, 새가지털말발도리, 지이말발도리, 지리말발도리 Mae-hwa-mal-bal-do-ri Deutzia uniflora Shirai ○ 국명정보 매화말발도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매화 + 말발도리"의 합성어임. 매화말바도리라는 이름은 꽃이 매화를 닮은 말발도리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에서 전통 명칭 말발도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특징을 나타내는 매화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범의귀과(Saxifragaceae) 말발도리속(Deutzia) => APGIV 분류체계 322.수국과(Hydrangeaceae).. 2017.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