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식물1356 낙우송(1) 낙우송(1) | 落羽松 Nak-u-song Taxodium distichum (L.) Rich. | Cupressus disticha L. ○ 국명정보 낙우송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낙우송(落羽松)은 잎이 납작하고 짧은잎이 서로 어긋나기로 붙어 있는 깃꼴겹잎이다. 그 모습이 새의 깃을 닮았다. 이 잎이 겨울이면 털어진다고 하여 낙우송이란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소나무보다는 오히려 삼나무에 더 가깝다. 작은잎이 하나하나 떨어지기도 하지만 깃꼴겹잎이 통째로 떨어지기도 한다. 미시시피강 하류가 원산지인 만큼 습기에 강하다. 일종의 공기뿌리인 무릎뿌리(膝根)가 천불상처럼 올라오는 것이 특징이다. 출전:박상진(2019) ○ 분류 구과식물문(Pinophyta)>구과식물강(Pinopsi.. 2016. 3. 7. 대왕야자 대왕야자 | 쿠바대왕야자, 영명 Cuban royal palm, Florida royal palm, royal palm Roystonea regia (Kunth) O.F.Cook | 이명 Oreodoxa regia Kunth / Oenocarpus regius (Kunth) Spreng./ Palma elata W.Bartram /Roystonea floridana O.F.Cook Euterpe jenmanii C.H.Wright / Euterpe ventricosa C.H.Wright / Roystonea jenmanii (C.H.Wright) Burret / Roystonea elata (W.Bartram) F.Har.. 2016. 3. 7. 흰도깨비바늘 흰도깨비바늘 | 긴털가막사리(북한명) Hin-do-kkae-bi-ba-neul Bidens pilosa var. minor (Blume) Sherff 귀화식물 ○ 국명정보 흰도깨비바늘 : 박만규 : (1974) ○ 국명의 유래 "흰 + 도깨비바늘", 흰도깨비바늘이라는 이름은 설상화가 노란색으로 피는 도깨비바늘과는 달리 흰색으로 피는 도깨비바늘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 도깨비바늘속(Bidens) 가막사리 / 까치발 / 도깨비바늘 / 미국가막사리 / 삼잎구와가막사리 / 울산도깨비바늘 / 좁은잎가막사리 / 털도깨비바늘 / 구와가막사리 / 흰도깨비바늘 ○ 분포|자생지 열대 아메리카 원산(?) | 남부지방인 전남 여수 돌산도와 경북 울산에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풀 .. 2016. 3. 7. 서양배나무 서양배나무 | 병배나무 Seo-yang-bae-na-mu Pyrus communis L. ○ 국명정보 서양배나무 : 한국수목도감 (이창복, 1966) ○ 국명의 유래 "서양 + 배나무", 서양배나무라는 이름은 원산지 서양에서 도입된 배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장미과(Rosaceae)>배나무아과(Maloideae)>배나무속(Pyrus) 콩배나무 / 돌배나무 / 위봉배 / 산돌배 / 휘앙네 / 금강산돌배 / 남해배나무 / 청실리 / 문배 / 백운배나무(비합법) / 합실리(비합법) / 개위봉배나무 / 청위봉배나무 / 털산돌배 / 들배나무 /배나무(재배) / 서양배(재배) ○ 분포|자생지 중앙 유럽, 동유럽, 서부 아시아 원산 | 전국에서 과일용으로 식재한다. ○ 형태 수형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나무.. 2016. 1. 18. 이전 1 ··· 319 320 321 322 323 324 325 ··· 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