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1461

사시나무(1) 사시나무(1) | 발래나무, 사실황철, 파드득나무, 백양사실, 황철발래나무, 사실버들, 왜사시나무, 산사시나무, 왕사시나무 Sa-si-na-mu Populus davidiana Dode ○ 국명정보 사시나무(파드득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사시 + 나무", 옛 이름 사살나모에서 비롯한다. 은 차자로 沙瑟木(사슬목)을 기록했는데 이는 사살나모를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사살나모는 이후 사사나모로 되었으며, 사싀나무 및 사시나무와 혼용되다가 사시나무로 정착되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겁을 먹너나 추위 때문에 덜덜 떠는 모습을 두고 사시나무 떨 듯한다는 말을 쓴다. 옛 몽골어로 떠는 모습을 '사지'라고 하는데 이것이 .. 2018. 7. 10.
큰장대 큰장대 | 큰장때, 향화초, 북꽃장대, 큰꽃장대 Keun-jang-daei Clausia trichosepala (Turcz.) Dvorak ○ 국명 정보 큰장대 : 이창복 (1980) 큰장때 : 정태현 (1957) 향화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큰 + 장대", 큰장대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장대나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십자화과(Cruciferae) 큰장대속(Clausia) 큰장대 ○ 분포|자생지 몽골, 중국, 한반도 | 북부지방 함경북도 무산 지역의 산골짜기 모래땅, 돌이 있는 곳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 곧게 자라며 높이 10~5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짧은 털이 듬성하게 난다. 잎 뿌리잎은 모여나며 .. 2018. 7. 10.
실쑥 실쑥 | 솔잎쑥, 누른시베리아쑥, 시베리아쑥 Sil-ssuk Filifolium sibiricum (L.) Kitam. 북방계식물 ○ 국명정보 실쑥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실 + 쑥", 실쑥이라는 이름은 잎이 실처럼 가늘게 갈라지는 쑥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 (Asteraceae) 실쑬속 (Filifolium) 실쑥 / 잔실쑥 ○ 분포|자생지 중국, 러시아 동부, 한국 | 한반도 북부 함경북도 백두산에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키는 35~45cm,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 뿌리잎은 빽빽이 붙어 있고, 꽃이 핀 뒤에도 남아 있으며, 긴 타원형, 2~3회 깊은 깃 모양으로 갈라지고, 길이 20~27cm, 너비 .. 2018. 7. 9.
달구지풀(2) 달구지풀(2) | 달구뱅이(충남) Dal-gu-ji-pul Trifolium lupinaster L. ○ 국명정보 달구지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달구지 + 풀", 달구지풀이라는 이름은 돌려나는 작은잎의 모양이 달구지의 바퀴를 닮은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일본명 シャジクソウ(車軸草)을 참고해서 저자들이 신칭한 이름일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콩과(Leguminosae) 토끼풀속(Trifolium) 토끼풀 / 노랑토끼풀 / 애기노랑토끼풀 / 진홍토끼풀 / 붉은토끼풀 / 선토끼풀 / 달구지풀 / 제주달구지풀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러시아(사할린,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한국.. 2018.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