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가지똥(3)
방가지똥(3) | 방가지풀, 방가지, 방가지싹 Bang-ga-ji-ttong Sonchus oleraceus L. ※史前귀화식물-개항(1876) 이전에 들어온 식물 ○ 국명정보 방가지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방가지 + 똥", 방가지똥이라는 이름은 방가지(방아깨비)가 내뱉는 액처럼 유액이 나오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방가지가 위험에 처하면 배설물을 내놓는데, 방가지똥에 상처가 생기면 흰 유액이 나오는 모습이 마치 방아깨비의 똥과 같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국화과(Asteraceae)>치커리아과(Cichorioideae)>치커리족(Cichorieae)>방가지똥속(Sonch..
2023. 3. 28.
개양귀비(5)
개양귀비(5) | 虞美人草, 미인초, 꽃양귀비, 물감양귀비, 애기아편꽃, Gae-yang-gwi-bi Papaver rhoeas L. 화훼재배식물 ○ 국명정보 개양귀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양귀비", 개양귀비라는 이름은 양귀비와 닮았으나 아편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虞美人草는 초나라 항우의 애첩 우미인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항우가 유방의 군대에 포위되자 우미인은 술자리에서 석별의 정을 읊는 항우의 시에 맞추어 노래를 부른 뒤 목숨을 끊었다고 하는데 나중에 우미인의 무덤에 개양귀비 꽃이 피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
2023. 3. 28.
회향(4)
회향(4) | 茴香, 蘹萫, Fennel Hoe-hyang Foeniculum vulgare Mill., 1768. | 귀화식물 ○ 국명 정보 회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회향" 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茴香에서 비롯되었으며, 향이 강해 음식을 만들 때 냄새를 제거하거나 향이 돌아오게 하는 효능이 있어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piales 미나리목 > Apiaceae 미나리과 > Foeniculum 회향속 회향 ○ 분포 | 자생지 지중해 원산, 유럽, 지중해 지역 등 전 세계 | 제주도 저지대, 울릉도, 서울 한..
2023. 3. 28.
피마자(1)
피마자(1) | 아주까리, 아죽까리, 피마주(북한명) Pi-ma-ja Ricinus communis L. 재배식물 ○ 국명정보 피마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피마자라는 이름은 한자명 蓖麻子(비마자)의 발음이 변화한 것에서 유래했다. 인도 및 아프리카 원산으로 국내에서는 재배한다. 蓖는 열매가 굽어 진드기처럼 생겼다는 뜻이고, 麻는 잎이 삼을 닮았다는 뜻이며, 子는 씨앗을 약용한 데서 유래했다. 고려시대에 도입된 것으로 보인다. 피마자의 다른 이름인 아주까리는 오래된 우리말로 향약구급방은 한자를 차자하여 阿叱加伊(아ㅈ·가리)로 기록했고, 동의보감에서는 아ㅈ·ㅅ가리라는 한글로 기록했는데 그 정확한 뜻은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2023.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