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이탈리아에서 만난 식물50

은쑥(?) 은쑥 | Silvermound Eun-ssuk Artemisia schmidtiana Maxim. ○ 국명 정보 은쑥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은 + 쑥", 은쑥이라는 이름은 잎이 은빛을 띠는 쑥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체계 국화과(Asterceae) 은쑥속(Artemisia) 은쑥 Artemisia schmidtiana Maxim. 은쑥 Artemisia schmidtiana 'Nana' ○ 분포 | 자생지 일본 원산 | 화단에 관상용으로 식재한다. ○ 형태 생육형 작고 매트를 형성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25~30cm, 너비는 30~60cm까지 자란다. 잎 털이 많은 은빛이다. 꽃 초여름에 꽃이 핀다. 작고 노란색 꽃 머리모양 원추형을 이룬다. 열매 과 ○ 동정 .. 2023. 3. 29.
흰대극(6) 흰대극(6) | 힌대극, 노랑대극, 노랑등대풀, 노랑버들옻, 흰버들옻, 乳漿大戟 Heuin-dae-geuk Euphorbia esula L. ○ 국명정보 힌대극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흰대극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흰 + 대극", 흰대극이라는 이름은 식물체 전체에 털이 없고 매끄러운 것이 분백색으로 보이는 대극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힌대극>흰대극은 맞춤법에 따른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Euphorbiaceae) 대극속(Euphorbia) 개감수 / 낭독 / 누운땅빈대 / 대극 / 두메대극 / 등대풀 / 땅빈대 / 민대극(붉은대극) / 암대극 / 애기땅빈대 / 제주대극 / 큰땅.. 2023. 3. 29.
Ajuga chamaepitys Ajuga chamaepitys | 영문명 yellow bugle, chian bugle, ground-pine 아주가 차매피티스 Ajuga chamaepitys (L.) Schreb. | 다른학명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Lamiaceae 꿀풀과 > Ajuga 조개나물속 아주가 차매피티스 Ajuga chamaepitys (L.) Schreb. ○ 분포 | 자생지 유럽, 지중해 동부, 북아프리카 분포 |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10-40cm, 적자색 네모난 털이 많다. 잎 소나무 잎 비슷하며 어긋난다. 길이 4cm까지 자라며 3개의 선형 열편으로 갈라지고 으스러지면 솔잎과.. 2023. 3. 29.
Anchusa azurea(?) Anchusa azurea | garden anchusa, Italian bugloss 안츄사 아주레아 Anchusa azurea Mill. | 이명 Anchusa italica ○ 국명정보 ○ 국명의 유래 ○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Lamiales 꿀풀목 > Boraginaceae 지치과 > Anchusa속 Anchusa azurea Mill. ○ 분포 | 자생지 유럽과 서아시아 및 동부 마그레브 분포 | ※크레타 에서는 아고글로소스( 그리스어 : αγόγλωσσος ) 라고 부르며 현지인들은 부드러운 줄기를 삶거나 찌거나 튀겨 먹는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1.5m, 너비 60cm에 달한다. 잎 곧은 창 모양이고 털이 많다..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