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식물/내몽골식물151

방풍(1) 방풍(1) | 가는방풍, 개방풍. 산방풍 Bang-pung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in |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Wolff 재배식물(국가표준식물목록) ○ 국명 정보 방풍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방풍" 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방풍(防風)에서 비롯한 것으로, 풍(중풍 등 뇌혈관의 장애로 인한 병)을 막는 작용을 한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산형과 (Umbelliferae) 방풍속 (Ledebouriella) 방풍 ○ 분포|자생지 몽골,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동북부, 한국 | 중부 이북.. 2018. 7. 22.
들떡쑥(3) 들떡쑥(3) | 들솜다리, 산푸솜다리 Deul-tteok-ssuk Leontopodium leontopodioides (Willd.) Beauverd ○ 국명정보 들떡쑥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들 + 떡쑥", 들떡쑥이라는 이름은 들에 나고 자라는 떡쑥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국화아과(Asteroideae)>떡쑥족(Gnaphalieae)>솜다리속(Leontopodium) 들떡쑥 / 왜솜다리=>솜다리 / 한라솜다리 / 솜다리 / 산솜다리 /설악솜다리=>산솜다리 ○ 분포|자생지 중국, 몽골, 러시아(우수리, 동시베리아), 일본, 한국 | 전국 산비탈 건조한 풀밭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총생하고 높이 6~45㎝이며 간혹 가지.. 2018. 7. 22.
개황기(2) 개황기(2) | 애기황기, 좀황기, 좀단너삼 Gae-hwang-gi Astragalus uliginosus L. ○ 국명 정보 개황기 : 정태현 (1957) ○ 국명의 유래 "개 + 황기", 개황기라는 이름은 질적으로 황기만 못하지만 황기와 비슷한 종류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개황기는 황기에 비해 한해살이풀이다. ○ 분류 콩과(Fabaceae) 황기속(Astragalus) 개황기 / 자운영 / 자주황기 / 정선황기 / 황기 / 염주황기 / 제주황기 ○ 분포|자생지 중국(동북부), 몽골, 러시아(극동, 시베리아), 한국 | 함경남북도 높은 산의 풀밭에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곧추서며, 높이 30-90cm, 흰 털이 있다. 잎 어긋나며, 작은잎 17-29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 2018. 7. 21.
실별꽃(1) 실별꽃(1) | Slender chickweed Sil-byeol-kkot Stellaria filicaulis Makino ○ 국명정보 실별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실 + 별꽃" 실별꽃이라는 이름은 에서 신칭한 것인데, 원줄기가 실처럼 가늘고 별꽃을 닮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형태적 특징과 학명을 고려한 이름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별꽃속(Stellaria) 긴잎별꽃 / 별꽃 / 쇠별꽃 / 실별꽃 / 왕별꽃 / 벼룩나물 ○ 분포|자생지 중국(만주), 일본,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한국 | 경기 이북의 논 근처나 산지 습기가 있는 곳에 난다. ○ 형태 여러.. 2018.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