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양치식물424

비늘개관중 비늘개관중 | 산나도히초미, 비늘관중 Bi-neul-gae-gwan-jung Polystichum retroso-paleaceum (Kodama) Tagawa ○ 국명정보 비늘개관중 : 안학수 외 (1982) ○ 국명의 유래 "비늘 + 개관중", 비늘개관중이라는 이름은 줄기 등에 비늘(인편)이 밀생한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나도히초미속(Polystichum) 더부살이고사리 / 낚시고사리 / 십자고사리 / 검정개관중 / 큰개관중 / 좀나도히초미 / 나도히초미 / 긴개관중 / 섬나도히초미 / 나도개관중 / 비늘개관중 / 지리개관중 / 참나도히초미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경북(울릉도) 산지의 숲 속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하록성이다. 근경 짧고 비.. 2013. 8. 22.
청나래고사리(1) 청나래고사리(1) Cheong-na-rae-go-sa-ri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청나래고사리속(Matteuccia) 청나래고사리 ○ 분포|자생지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미, 한국 | 북부지방, 강원, 경기, 충남북 등 그늘진 낙엽 활엽수림, 양지바른 습원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 2013. 8. 15.
갯바위고사리 갯바위고사리 Sphenomeris biflora (Kaulf.) Tagawa ○ 분류 고사리과(Pteridaceae) 바위고사리속(Sphenomeris) 바위고사리 / 갯바위고사리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대만, 홍콩, 필리핀, 한국 | 바닷가의 바위나 절벽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상록성 근경 짧고 광택이 있는 갈색 인편이 붙는다. .. 2013. 8. 9.
가래고사리 가래고사리 | Long beech fern Ga-rae-go-sa-ri Phegopteris connectilis (Michx) Watt. ○ 국명정보 가래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가래 + 고사리", 가래고사리라는 이름은 잎 모양이 농기구 가래를 닮은 고사리라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에서 전통 명칭 고사리를 기본으로 하고 식물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는 가래를 추가해 신칭했다.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면마과(Dryopteridaceae) 설설고사리속(Phegopteris ) 가래고사리 / 설설고사리 / 큰설설고사리 ○ 분포|자생지 일본, 대만, 중국, 히말라야, 시베라아, 소아시아, 유럽, 북아메리.. 201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