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사초과336

흰방동사니 흰방동사니(1) | 서울방동사니. 휜방동사니, 흰방동산이 Hin-bang-dong-sa-ni Cyperus pacificus (Ohwi) Ohwi ○ 국명 정보 흰방동사니 :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흰 + 방동사니", 흰방동사니라는 이름은 작은이삭의 빛깔이 백록색인 특색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물방동사니, 쇠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모기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 무른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방동나시아재비, 알방동사니, 흰방동사니, 왕골, 산형쇠방동사니, 우산쇠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종려방도사니, 파피루스, 드렁방동사니, 갯방동사니, 껄끔방동사니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전국 물가나 .. 2018. 8. 25.
푸른방동사니(1) 푸른방동사니(1) | 나도방동사니 Pu-reun-bang-dong-sa-ni Cyperus nipponicus Franch. & Sav. | Juncellus nipponicus (Franch. & Sav.) C. B. Clarke ○ 국명 정보 푸른방동사니 : 국가표준식물목록 추천명 ○ 국명의 유래 "푸른 + 방동사니", 푸른방동사니라는 이름은 인편이 연한 녹색이라는 뜻에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물방동사니, 쇠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모기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 무른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방동나시아재비, 알방동사니, 흰방동사니, 왕골, 산형쇠방동사니, 우산쇠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종려방도사니, 파피루스, 드렁방동사니.. 2018. 8. 25.
알방동사니(2) 알방동사니(2) | 알방동산이, Al-bang-dong-sa-ni Cyperus difformis L. ○ 국명정보 알방동사니 : 이춘녕 : (1963) 알방동산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알 + 방동사니" 알방동사니라는 이름은 열매가 둥근 알 모양의 방동사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표기법에 맞추어 방동산이>방동사니로 변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물방동사니, 쇠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모기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 무른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방동나시아재비, 알방동사니, 흰방동사니, 왕골, 산형쇠방동사니, 우산쇠방동사니, 참.. 2018. 8. 25.
층실사초 층실사초 | 호랭이사초 Chung-sil-sa-cho Carex remotiuskula Wahlenb. ○ 국명정보 층실사초 : 정태현 (1956) ○ 국명의 유래 "층실 + 사초", 층실사초이라는 이름은 이삭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달리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사초속(Carex) >괭이사초절(Vignea) 진퍼리사초, 대암사초, 애괭이사초, 산괭이사초, 괭이사초, 대구사초, 양덕사초, 도랭이사초, 가는사초, 경성사초, 덩굴사초, 바위사초, 함북사초, 산타래사초, 산사초, 북사초, 큰산사초, 나도별사초, 충실사초, 타래사초, 벌사초, 수원사초, 통보리사초 ○ 분포|자생지 한국 | 중부 이북의 주로 석회암 지대의 축축한 풀밭이나 계곡 주변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 2018.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