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하늘지기(1)
갯하늘지기(1) | 올챙이하눌직이, 갯하늘직이, 개하늘지기 Gaet-ha-neul-ji-gi Fimbristylis ferruginea (L.) Vahl var. sieboldii (Miq. ex C. B. Clarke) Ohwi ○ 국명정보 갯하늘지기 : 이창복 (1980) 갯하늘직이 : 박만규 (1949) 올챙이하눌직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갯 + 하늘지기", 갯하늘지기라는 이름은 바닷가(갯)에서 나는 하늘지기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소수가 올챙이처럼 앙증맞고 하늘지기를 닮았다는 뜻에서 올챙이하눌직이를 신칭해 기록했다. 갯하늘직이>갯하늘지기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2018. 9. 25.
방동사니아재비(2)
방동사니아재비(2) | 개방동사니, 방동산이아재비 Bang-dong-sa-ni-a-jae-bi Cyperus cyperoides (L.) Kuntze ○ 국명 정보 방동사니아재비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방동사니 + 아재비", 방동사니아재비라는 이름은 방동사니와 유사하다(아재비)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물방동사니, 쇠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모기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 무른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방동나시아재비, 알방동사니, 흰방동사니, 왕골, 산형쇠방동사니, 우산쇠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종려방도사니, 파피루스, 드렁방동사니, 갯방동사니, 껄끔방동사니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인도, 한국 ..
2018. 9. 25.
향부자(香附子)
향부자(香附子) | 갯뿌리방동사니, 약방동사니, ハマスゲ Hyang-bu-ja Cyperus rotundus L. ○ 국명정보 향부자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향부자라는 이름은 한자명 香附子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약재로 사용하는 뿌리가 서로 달라붙어 이어져 나면서 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방동사니속(Cyperus) 물방동사니, 쇠방동사니, 금방동사니, 향부자, 모기방동사니, 우산방동사니, 너도방동사니, 방동사니, 무른방동사니, 방동사니대가리, 방동나시아재비, 알방동사니, 흰방동사니, 왕골, 산형쇠방동사니, 우산쇠방동사니, 참방동사니, 종려방도사니, 파..
2018. 9. 22.
좀송이고랭이(1)
좀송이고랭이(1) | 참송이골Jom-song-i-go-raeng-iScirpus mucronatus L. ○ 국명정보좀송이고랭이 : 이창복 (1969)○ 국명의 유래 "좀 + 송이고랭이", 좀송이고랭이이라는 이름은 식물체가 보다 작은(좀) 송이고랭이 종류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올챙이골속(Schoenoplectus) =>광의의 고랭이속에 포함됨송이고랭이, 좀송이고랭이, 수원고랭이, 올챙이고랭이, 광릉골, 제주올챙이고랭이 ○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일본, 유럽 | 경기도, 남부지방의 논, 연못, 습지 등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영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짧게 뻗는다. 줄기 높이는 44~106cm이다. 줄기는 모여나고, 단면은 모서리가 예리..
2018.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