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벼과312

큰듬성이삭새(20231020) 큰듬성이삭새(20231020) | 큰나도바랭이새, 북한명 : 나도바랭이, 새층층이, 나도바랭이새 Keun-deum-seong-i-sak-sae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Nees ex Steud.) Honda ○ 국명정보 큰듬성이삭새 :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큰 + 듬성이삭새", 큰듬성이삭새라는 이름은 이삭이 많이 달리는(큰) 까락이 없는 나도바랭이새(듬성이삭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나도바랭이속(Microstegium) 민바랭이새 / 나도바랭이새 / 큰듬성이삭새 ○ 분포|자생지 난온대~냉온대, 일본(홋카이도, 혼슈), 한국 등) | 전국의 숲정이 가장자리, 낮은 산지와 구릉지의 길가, 임도가장자리 등, 반음지~양지, .. 2023. 10. 22.
쥐꼬리새(20230923) 쥐꼬리새(20230923) | 쥐꼬리풀, 초리새, Japanese muhly Jwi-kko-ri-sae Muhlenbergia japonica Steud. ○ 국명정보 쥐꼬리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1. "쥐꼬리 + 새", 이라는 이름은 꽃이삭이 쥐꼬리를 닮은 띠 유사한 풀(새)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2. 국명 쥐꼬리새는 꽃이삭(花穗)이 쥐(鼠) 꼬리를 닮은 띠(茅) 같은 풀(새)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일본명 네주미가야(鼠茅)를 번역한 것이다. 실제로 꽃이삭은 부드러운 어린 꽃(小花)이 밀생하며, 엷은 회색에 가까운 녹색으로 쥐꼬리를 떠올릴만 하다. 속명 물렌베르기아(Muhlenbergia)는 18세기 후반의 미국 식물학자 이름에서 유래하고, 영어명은 그의 애칭(Mu.. 2023. 9. 24.
돌피(20230822) 돌피(20230822) | 돌미, 들피, 밭피 Dol-pi Echinochloa crus-galli (L.) P.Beauv. ○ 국명정보 돌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돌 + 피" 돌피라는 이름은 우리 옛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피와 유사하지만 야생(돌)에서 자라거나 피보다 못하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벼과(Poaceae) 피속(Echinochloa) 돌피 / 좀돌피 / 대만피 / 논피 / 피 / 물피 ○ 분포|자생지 난온대 및 열대 | 황해도 이남의 각지 들에서 자란다. ○ 형태 한해살이풀 뿌리 수염뿌리를 많이 낸다. 줄기 대는 편평하고 흔히 뭉쳐나며 곧게 선다. 높이는 30∼90cm이다. .. 2023. 8. 22.
쇠보리(20230709) 쇠보리(20230709) | 까락쇠보리 Soe-bo-ri Ischaemum crassipes (Steud.) Thell. | Andropogon crassipes Steud. ○ 국명정보 쇠보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쇠 + 보리" 쇠보리라는 이름은 보리와 유사하지만 보다 억세고 거칠다[쇠, 牛]는 뜻에서 유래했다. 실제 사용하는 방언을 채록하여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최초 기록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속명 Ischaemum 은 그리스어 ischaimos(지혈)에서 유래한 것으로 지혈작용을 하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쇠보리속을 일컫는다. ○ 분류 벼과(Poaceae) 쇠보리속(Ischaemum) 쇠보리 / 갯쇠보리 / 서.. 2023.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