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지역397

사스래나무 사스래나무 | 좀고채목, 쇠고채목,고채목 Sa-seu-rae-na-mu Betula ermanii Cham. ○ 국명정보 사스래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사스래 + 나무", 사스래나무라는 이름의 정확한 유래에 대해서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향약집성방은 사시나무를 백양수(白楊樹)라 하고, 그 향명을 沙瑟木(사살나모)으로 기록했다. 그런데 조선식물명휘에서는 물박달나무를 '사슬 + ㅇ·ㅣ'의 합성어로 추론되는 사스ㄹ·ㅣ나무로 기록했다. 사스래나무, 사시나무, 물박달나무가 나무껍질이나 목재 등의 이용과 관련하여 지역에 따라 혼용되다가 근대 식물분류학에 따른 종분류에 근거하여 현재의 사스래나무라는 이름이 정착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그렇다면 사스래나무라는 이.. 2014. 1. 20.
땃두릅나무(꽃)(1) 땃두릅나무(꽃)(1) | 뫼두릅(북한명), 따드릅나무, 따두릅나무, 땅드릅나무, 바늘드릅나무 Ttat-du-reup-na-mu Oplopanax elatus (Nakai) Nakai ○ 국명정보 땃두릅나무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따드릅나무 :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따두릅나무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따 + ㅅ + 두릅나무" 로 분석됨. 지(地)를 옛말에 "따"라고도 했다. 그러니까 땃두릅나무는 땅과 가까운, 키가 크지 않은 두릅나무라는 뜻으로 명명되었다. 옛날에 호랑이가 놀라는 풀이라는 뜻으로 호경초(虎驚草)라 적고 '땃둘훕, 땃둘옵'이라고도 했으며 흔히 땅두릅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여러해살이풀인 독활을 땅두릅이.. 2014. 1. 17.
백당나무(1) 백당나무(1) | 개불두화, 까마귀밥나무, 민백당나무, 불두화, 접시꽃나무, 청백당나무 Gaek-dang-na-mu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 국명정보 백당나무 : 정태현 (1942) 까마귀밥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백당 + 나무", 백당나무라는 이름은 꽃이 하얗게 피는 모양이 마치 흰 엿이나 흰 피륙을 펼쳐놓은 듯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5월경에 가장자리에 흰색의 무성꽃과 가운데의 양성꽃이 함께 접시 모양의 편평꽃차례로 핀다. 주요 자생지 중의 하나인 경기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참고 : 박상진 (201.. 2014. 1. 16.
제비꽃 제비꽃 | 오랑캐꽃, 오랑캐풀, 장수꽃/씨름꽃, 앉은뱅이꽃, 외나물/잇꽃, 옥녀비꽃, 병아리꽃 Je-bi-kkot Viola mandshurica W. Becker ○ 국명 정보 오랑캐꽃(장수꽃, 씨름꽃, 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제비 + 꽃", 제비꽃이라는 이름은 꽃이 물찬 제비와 같이 예쁘다거나 튀어나온 꽃뿔의 모양이 제비를 닮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옛 문헌에서 뒤통수의 한가운데 골을 따라 아래로 뾰족하게 내민 머리털을 제비초리로 표현한 것에 비추어 제비꽃은 꽃의 생긴 모습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꽃뿔이 있는 독특한 모습이 오랑캐를 연산시킨다는 뜻에서 오랑캐꽃이라 하며, 아이들이.. 201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