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07

수양버들(수꽃) 수양버들(수꽃) | 참수양버들 Su-yang-beo-deu Salix babylonica L. ○ 국명정보 수양버들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수양 + 버들" 수양버들이라는 이름은 한자어로 수양류(垂楊柳), 즉 가지가 아래로 늘어지는 특징이 있는 버드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양류라는 이름이 혼동을 주는 것은 양이 사시나무 종류를 뜻하는 현재와 달리 옛 문헌에서는 하자 양과 류가 명백히 구분되지 않고 버드나무로 통칭된 것에서 연유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 강계버들/ 개수양버들 / 갯버들 / 능수버들 / 버드나무 / 분버들 / 섬버들 / 수양버들 / 쌍실버들.. 2013. 4. 7.
용버들(운용버들) 용버들(운용버들) | 운용버들, 고수버들 Yong-beo-deul Salix matsudana Koidz. var. tortuosa Vilm. ○ 국명정보 용버들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 ○ 국명의 유래 "용 + 버들" 용이 하늘을 향해 구불구불 날아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는 형태적 특징을 반영한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북한명은 고수버들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 강계버들/ 개수양버들 / 갯버들 / 능수버들 / 버드나무 / 분버들 / 섬버들 / 수양버들 / 쌍실버들 / 제주산버들 / 쪽버들 / 콩버들 / 키버들 / 호랑버들 / 긴잎떡버들/ 난장이버들 / 떡버들 / 용버들 / 육지꽃버들.. 2013. 4. 7.
종지나물 종지나물 | 미국제비꽃 Jonk-ji-na-mul Viola papilionacea Pursh ※종소명 'papilionacea'은 나비처럼 생겼다는 뜻으로, 양쪽 꽃잎의 넓은 모양을 표현한 것이다. 귀화식물 ○ 국명 정보 종지나물 :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 국명의 유래 "종지 + 나물", 종지나물라는 이름은 심장 모양의 잎이 말려 있는 모습이 그릇 종류의 일종인 종지를 닮았고,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서 붙여졌다.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누운제비꽃 / 둥근털제비꽃 / 뫼제비꽃 / 미국제비꽃(종지나물) / 삼색제비꽃 / .. 2013. 4. 7.
산수유(산수유나무) 산수유 | 山茱萸, 산수유나무 San-su-yu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 ○ 국명정보 산수유 :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산수유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산 + 수유", 산에도 심어 기를 수 있는 수유나무란 의미로 명명되었다. 수유(茱萸)는 붉은 열매(茱)가 달리는 나무(萸)라는 뜻으로 중국 한자명을 그대로 쓴 것이다. 중국에서 열매를 수유(茱萸)라고 하여 한약재로 쓴다. 에 신라 경문왕 때 중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이 있다. 참고 : 박상진 (2019) ○ 분류 층층나무과(Cornaceae) 층층나무속(Cornus) 곰의말채나무 / 말채나무 / 산딸나무 / 산수유 / 층층나무 / 풀산딸나무 ○ 분포|.. 2013. 4. 7.
민꽃다지 민꽃다지 | 개꽃다지 Min-kkot-da-ji Draba nemorosa L. for. leiocarpa (Lindb.) Kitag. ○ 국명정보 민꽃다지 : 이창복 ○ 국명의 유래 "민 + 꽃다지", 민꽃다지라는 이름은 꽃다지를 닮았으나 열매에 털이 없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십자화과(Cruciferae) 꽃다지속(Draba) 꽃다지 / 산꽃다리 / 가지산꽃다지 / 민꽃다지 ○ 분포|자생지 북반구 온대 | 전국의 산과 들에 자란다. ○ 형태 생육형 두해살이풀 줄기 한 개가 곧게 자라며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갈래 털과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위쪽에는 털이 없다. 잎 뿌리잎은 여러 개가 모여 나며, 잎몸은 도란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2~4cm, 폭 8~15mm, 잎자루는 없다. 줄.. 2013. 4. 7.
소태나무 소태나무 | 소ㅌ·ㅣ나무, 쇠태 So-tae-na-mu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 국명정보 소태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소태나무란 이름은 이 나무의 껍질을 사용하기 위하여 나무를 자르면 안쪽의 노란색 심재가 마치 별을 박아놓은 것처럼 보이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나무껍질을 미투리 따위의 뒤를 동이는 데 쓰고, 나무껍질과 열매를 약재로 사용했다. 수액을 산모가 아기 젖을 땔 때 사용하기도 했다. 소태의 정확한 어원과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그 즈음 '소ㅌ·ㅣ셩'이라는 단어가 문헌 기록에 나오는데 현대어로 별박이이다. 별박이는 이마에 흰 털의 점이 마치 별처럼 박힌 말을 뜻한다. 이에 비추어 소태나무를 .. 2013. 4. 5.
개암나무 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북한명), 개얌나무, 난티닢개암나무, 물개암나무, 깨금나무, 난퇴물개암나무, 쇠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 Gae-am-na-mu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 국명정보 개암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어원 : 개암나무<개염남ㄱ<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개염+남ㄱ -'개암+나무'의 합성어로 봄. '개암'은 '개밤(ㅂ은 순경음 ㅂ)'이 변한 말이다. 밤 맛과 비슷하지만 그만 못한 밤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출전 : 박상진(2019) 출전:박상진(2019)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개암나무속(Corylus) 개암나무 / 병물개암나무 / 물개암나무 / 참개암나무 / 병개암나무 ○ 분포.. 2013. 4. 4.
얼레지 얼레지 | 가재무릇, 얼너지, 얼네지, 얼레기 Eol-re-ji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국명정보 얼레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얼네지(가재무릇)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얼레지라는 이름은 잎의 표면에 있는 자주색 무늬가 얼룩덜룩하게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얼룩말을 얼럭말, 얼네말이라고 한 것에서도 지원된다. 가재무릇이라고 한 것은 잎에 가재와 같은 얼룩무늬가 있는 무릇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얼레지와 그 의미가 서로 통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 2013. 4. 4.
개감수 개감수 | 감수(甘遂), 능수버들/산감수, 참대극, 산참대극, 산개감수, 좀개감수 Gae-gam-su Euphorbia sieboldiana C. Morren & Decne. ○ 국명정보 개감수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감수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감수", 개감수라는 이름은 한자명 감수(甘遂)와 생김새가 닮았으나 약재로 사용하지 못해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가 덩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약재로 사용하기 어렵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Ranunculaceae) 대극속(Euphorbia) 개감수 / 대극 / 두메대극 / 등대풀 / 땅.. 2013. 4. 4.
복수초 복수초 | 福壽草, 눈색이꽃, 복풀, 아도니스초/얼음꽃/얼음새꽃, 애기복수초, 땅복수초, 측금잔화, 얼음새기꽃 Bok-su-cho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 국명정보 복수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복수초" 라는 이름은 한자어 福壽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복과 장수를 축원한다는 뜻이다. 한중일 모두 복수초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방언 및 문헌 기록에 의하면 '얼을새출, 얼음꽃, 얼음새기꽃' 등은 복수초를 일컫는 우리말로 최근 생겨난 것이 아니라 실제 민간에서 불려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복수초속(Adonis) 가지복수초 /.. 2013. 4. 4.
둥근털제비꽃 둥근털제비꽃 | 둥근털오랑캐, 둥글제비꽃, 동근털제비꽃 Dung-geun-teol-je-bi-kkot Viola collina Besser ○ 국명 정보 둥근털오랑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둥근털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둥근 + 털 + 제비꽃", 둥근털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잎이 둥글고 잎과 꽃자루 등에 털이 있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잎뿐만 아니라 열매도 둥글고 털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누운제.. 2013. 4. 3.
앉은부채 앉은부채 | 배추나물, 안진부채, 삿부채, 산부채풀, 우엉취, 일본명; 후리가나(ざぜんそう, 座禪草), 중국명; 취숭(臭菘), 영명; skunk cabbage Anjeun-bu-chae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 ○ 국명정보 앉은부채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앉은 + 부채", 앉은부채라는 이름은 육수꽃차례의 모양이 부처가 앉아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천남성과(Araceae) 앉은부채속(Symplocarpus) 앉은부채 / 애기앉은부채 / 노랑앉은부채 ○.. 2013. 4. 3.
큰괭이밥 큰괭이밥 | 큰괭이밥풀, 酢奬草(초장초) Keun-gwaeng-i-bap Oxalis obtriangulata Maxim. ※종소명인 obtriangulata는 역삼각형이란 뜻으로 작은 잎의 모양을 보고 지었다. ○ 국명정보 큰괭이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큰 + 괭이밥", 큰괭이밥이라는 이름은 괭이밥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괭이밥과(Oxalidaceae) 괭이밥속(Oxalis) 애기괭이밥 / 자주애기괭이밥 / 붉은자주애기괭이밥 / 덩이괭이밥 / 꽃괭이밥 / 괭이밥 / 자주괭이밥 / 큰괭이밥 / 선괭이밥 / 우산잎괭이밥 / 붉은괭이밥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일본,.. 2013. 4. 3.
점현호색 점현호색 | Spotted corydalis Jeom-hyeon-ho-saek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한반도고유종 ○ 국명 정보 점현호색 : 오병운 (1986) ○ 국명의 유래 "점 + 현호색", 점현호색이라는 이름은 잎 표면에 흰색 반점이 있는 특징에서 유래했다. ○ 분류 현호과(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갈퀴현호색 / 갯괴불주머니 / 괴불주머니 / 난장이현호색 / 남도현호색 / 눈괴불주머니 / 들현호색 / 산괴불주머니 / 섬현호색 / 쇠뿔현호색 / 염주괴불주머니 / 완도현호색 / 자주괴불주머니 / 점현호색 / 조선현호색 / 탐라현호색 / 털현호색 / 현호색 / 흰현호색 / 댓잎현호색 / 빗살현호색 ○ 분포|자생지 한국(고유종) .. 2013. 4. 3.
각시현호색 각시현호색 | Gak-si-hyeon-ho-saek Corydalis misandra B.U.Oh ※기재문헌 Korean J. Pl. Taxon 36 : 138 (2007) ○ 국명 정보 각시현호색 : 오병운 , 최혁재 "한국에서 발견된 현호색속 현호색절의 1신종", 기재문헌 Korean J. Pl. Taxon 36 : 138 (2007) ○ 국명의 유래 "각시 + 현호색", 각시현호색이라는 이름은 꽃이 각시처럼 예쁜 현호색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현호과(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각시현호색 / 갈퀴현호색 http://blog.daum.net/ihogyun/2762558 / 갯괴불주머니 / 괴불주머니 / 난장이현호색 / 남도현호색 / 눈괴불주머니 / 들현호색 / 산괴불주.. 2013.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