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암나무
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북한명), 개얌나무, 난티닢개암나무, 물개암나무, 깨금나무, 난퇴물개암나무, 쇠개암나무, 난티잎개암나무 Gae-am-na-mu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 국명정보 개암나무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1937) ○ 국명의 유래 -어원 : 개암나무<개염남ㄱ<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개염+남ㄱ -'개암+나무'의 합성어로 봄. '개암'은 '개밤(ㅂ은 순경음 ㅂ)'이 변한 말이다. 밤 맛과 비슷하지만 그만 못한 밤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출전 : 박상진(2019) 출전:박상진(2019) ○ 분류 자작나무과(Betulaceae) 개암나무속(Corylus) 개암나무 / 병물개암나무 / 물개암나무 / 참개암나무 / 병개암나무 ○ 분포..
2013. 4. 4.
얼레지
얼레지 | 가재무릇, 얼너지, 얼네지, 얼레기 Eol-re-ji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국명정보 얼레지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얼네지(가재무릇)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얼레지라는 이름은 잎의 표면에 있는 자주색 무늬가 얼룩덜룩하게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얼룩말을 얼럭말, 얼네말이라고 한 것에서도 지원된다. 가재무릇이라고 한 것은 잎에 가재와 같은 얼룩무늬가 있는 무릇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얼레지와 그 의미가 서로 통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
2013. 4. 4.
개감수
개감수 | 감수(甘遂), 능수버들/산감수, 참대극, 산참대극, 산개감수, 좀개감수 Gae-gam-su Euphorbia sieboldiana C. Morren & Decne. ○ 국명정보 개감수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감수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개 + 감수", 개감수라는 이름은 한자명 감수(甘遂)와 생김새가 닮았으나 약재로 사용하지 못해 쓸모가 덜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전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가 덩이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약재로 사용하기 어렵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대극과(Ranunculaceae) 대극속(Euphorbia) 개감수 / 대극 / 두메대극 / 등대풀 / 땅..
2013. 4. 4.
복수초
복수초 | 福壽草, 눈색이꽃, 복풀, 아도니스초/얼음꽃/얼음새꽃, 애기복수초, 땅복수초, 측금잔화, 얼음새기꽃 Bok-su-cho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 국명정보 복수초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복수초" 라는 이름은 한자어 福壽草에서 유래한 것으로 복과 장수를 축원한다는 뜻이다. 한중일 모두 복수초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방언 및 문헌 기록에 의하면 '얼을새출, 얼음꽃, 얼음새기꽃' 등은 복수초를 일컫는 우리말로 최근 생겨난 것이 아니라 실제 민간에서 불려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복수초속(Adonis) 가지복수초 /..
2013. 4. 4.
둥근털제비꽃
둥근털제비꽃 | 둥근털오랑캐, 둥글제비꽃, 동근털제비꽃 Dung-geun-teol-je-bi-kkot Viola collina Besser ○ 국명 정보 둥근털오랑캐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둥근털제비꽃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둥근 + 털 + 제비꽃", 둥근털제비꽃이라는 이름은 잎이 둥글고 잎과 꽃자루 등에 털이 있는 제비꽃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잎뿐만 아니라 열매도 둥글고 털이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제비꽃과(Violaceae) 제비꽃속(Viola) 각씨제비꽃 / 갑산제비꽃 / 경성제비꽃 / 고깔제비꽃 / 구름제비꽃 / 금강제비꽃 / 긴잎제비꽃 / 넓은잎제비꽃 / 노랑제비꽃 / 누운제..
2013. 4. 3.
앉은부채
앉은부채 | 배추나물, 안진부채, 삿부채, 산부채풀, 우엉취, 일본명; 후리가나(ざぜんそう, 座禪草), 중국명; 취숭(臭菘), 영명; skunk cabbage Anjeun-bu-chae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Miq. | Symplocarpus renifolius Schott ex Tzvelev ○ 국명정보 앉은부채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앉은 + 부채", 앉은부채라는 이름은 육수꽃차례의 모양이 부처가 앉아 있는 모습과 비슷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천남성과(Araceae) 앉은부채속(Symplocarpus) 앉은부채 / 애기앉은부채 / 노랑앉은부채 ○..
2013. 4. 3.
큰괭이밥
큰괭이밥 | 큰괭이밥풀, 酢奬草(초장초) Keun-gwaeng-i-bap Oxalis obtriangulata Maxim. ※종소명인 obtriangulata는 역삼각형이란 뜻으로 작은 잎의 모양을 보고 지었다. ○ 국명정보 큰괭이밥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큰 + 괭이밥", 큰괭이밥이라는 이름은 괭이밥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괭이밥과(Oxalidaceae) 괭이밥속(Oxalis) 애기괭이밥 / 자주애기괭이밥 / 붉은자주애기괭이밥 / 덩이괭이밥 / 꽃괭이밥 / 괭이밥 / 자주괭이밥 / 큰괭이밥 / 선괭이밥 / 우산잎괭이밥 / 붉은괭이밥 ○ 분포|자생지 한국, 중국, 일본,..
2013.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