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437

수궁초 수궁초 | 水宮草, Hemp dogbane Su-gung-cho Apocynum cannabinum L. 임시정착 외래식물 ○ 국명정보 수궁초 : 이창복 (1980) ○ 국명의 유래 "수궁초" 라는 이름은 물속(水宮) 또는 물가에 사는 풀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 분류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백미꽃속(Cynanchum) 솜아마존 / 백미꽃 / 선백미꽃 / 덩굴박주가리 / 흑박주가리 / 산해박/ 자주박주가리 / 양반풀 / 세포큰조롱 / 큰조롱 / 민백미꽃 / 덩굴민백미꽃 / 가는털백미 / 검은솜아마존 / 푸른백미꽃 ○ 분포|자생지 미국, 캐나다 등 북아메리카, 한국 | 중부 이남 냇가의 자갈밭에서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 굵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 곧추서며, 높이 0.. 2016. 11. 4.
뚜껑별꽃 뚜껑별꽃 | 개봄마지, 개봄맞이, 개봄맞이꽃, 뚜겅별꽃, 별봄맞이꽃, 보라별꽃 Ttu-kkeong-byeol-kkot Anagallis arvensis var. caerulea (L.) Gouan | Anagallis arvensis L. ○ 국명 정보 뚜겅별꽃 ; 우리나라의 식물자원 (이창복, 1969) ○ 국명 유래 "뚜껑 + 별꽃", 뚜껑별꽃이라는 이름은 삭과가 익으면 중앙부에서 옆으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려 열매가 산개하고 꽃은 별꽃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 ○ 분류 앵초과(Primulaceae) 뚜껑별꽃속(Anagallis) ※APGIII에서는 국화군>국화상목>진달래목>앵초과>자금우아과>뚜껑별꽃속으로 분류함 뚜껑별꽃 ○ 분포|자생지 전 세계 온대, 열대 | 제주도, 추자도 등 주로 남부지방에 난.. 2016. 11. 4.
털하늘지기 털하늘지기 | Teol-ha-neul-ji-gi Fimbristylis dichotoma for. tomentosa (Vahl) Ohwi | Fimbristylis dichotoma f. tomentosa (Vahl) Ohwi ○ 국명정보 털하늘지기 : ? ○ 국명의 유래 "털 + 하늘지기", 털하늘지기라는 이름은 식물체에 털이 많은 하늘지기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하늘지기속(Fimbristylis) 검정하늘지기 / 민하늘지기 / 바다지기 / 바람하늘지기 / 밭하늘지기 / 쇠하늘지기 / 애기하늘지기 / 제주하늘지기 / 좀민하늘지기 / 큰하늘지기 / 털잎하늘지기 / 푸른하늘지기 / 하늘지기 / 갯하늘지기 / 꼴하늘지기 / 둥근하늘지기 / 암하늘지기 /.. 2016. 11. 4.
바람하늘지기(1) 바람하늘지기(1) | 바람하눌직이, 바람하늘직이 Ba-ram-ha-neul-ji-gi Fimbristylis littoralis Gaudich. ○ 국명정보 바람하늘지기 : 이춘녕 (1963) 바람하눌직이 : 정태현, 도상봉,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바람 + 하늘지기" 바람하늘지기라는 이름은 바람과 하늘지기의 합성어로 소수가 바람에 날리는 모양에서 유래했다. 에서 바람하눌직이로 신칭해 기록했으나 에서 바람하늘지기로 개칭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하늘지기속(Fimbristylis) 검정하늘지기 / 민하늘지기 / 바다지기 / 바람하늘지기 / 밭하늘지기 / 쇠하늘지기 / 애기하늘지기 / .. 2016. 11. 4.
검정하늘지기 검정하늘지기 | 검정하늘직이 Geom-jeong-ha-neul-ji-gi Fimbristylis diphylloides Makino ○ 국명정보 검정하늘지기 : 이창복 (1980) 검정하늘직이 :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 국명의 유래 "검정 + 하늘지기", 검정하늘지기라는 이름은 수과가 암갈색인 특징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 분류 사초과(Cyperaceae) 하늘지기속(Fimbristylis) 검정하늘지기 / 민하늘지기 / 바다지기 / 바람하늘지기 / 밭하늘지기 / 쇠하늘지기 / 애기하늘지기 / 제주하늘지기 / 좀민하늘지기 / 큰하늘지기 / 털잎하늘지기 / 푸른하늘지기 / 하늘지기 / 갯하늘지기 / 꼴하늘지기 / 둥근하늘지기 / 암하늘지기 / 가는하늘지기 / 남하늘지기 / 들하늘지.. 2016. 11. 4.
가는다리장구채(1) 가는다리장구채(1) | 짤룩장구채, 짤룩대나물 Ga-neun-da-ri-jang-gu-chae Silene jenisseensis Willd. ○ 국명정보 가는다리장구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가는다리장구채라는 이름은 줄기와 잎 등이 가는 다리 모양인 장구채라는 뜻이다. 조선식물향명집에서 전통 명칭 장구채를 기본으로 하고 학명과 형태적 특징에 착안한 가는다리장구채를 추가해 신칭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석죽과(Caryophyllaceae) 끈끈이장구채속(Silene) 가는다리장구채 / 가는장구채 / 끈끈이장구채 / 명천장구채 / 분홍장구채 / 오랑캐장구채 / 울릉장구채 / 장구채 / 한라장구채 / 흰장구채 /.. 2016. 11. 3.
감자개발나물 감자개발나물 | 무강개발나물, 알개발나물, 감자가락잎풀 Gam-ja-gae-bal-na-mul Sium ninsi Thunb. ○ 국명정보 감자개발나물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감자 + 개발나물", 감자개발나물이라는 이름은 개발나물을 닮았는데 감자와 같은 덩이뿌리가 있다는 뜻에서 붙여졌다. 개발나물에 비해 다육성의 덩이뿌리가 발달하며 잎겨드랑이에서 살눈이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다. 개발나물이라는 이름은 식용하는 어린잎의 모양이 개의 발을 닮았다고 보는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미나리과(Apiaceae)> 개발나물속 (Sium) 감자개발나물 / 개발나물 / 세잎개발나물 / 물개발나물 / .. 2016. 11. 2.
중국식물지 개발나물 종류 세밀화 비교 ▩ 산형과 개발나물 종류 세밀화 비교 -서울개발나물 Pterygopleurum neurophyllum (Maxim.) Kitag. -Sium medium Fisch. et Mey.(1-6), Sium latifol L.(1-6), -개발나물 Sium suave Walter -감자개발나물 표본 Sium ninsi Thunb. Thunberg's Japanese Plant -감자개발나물 Sium ninsi Thunb. http://plantgenera.org/illustration.php?id_illustration=78057&SID=0.. 2016. 11. 1.
북분취(2) 북분취(2) | 영명 Mongolian saussurea Buk-bun-chwi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 국명정보 북분취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북 + 분취", 북분취라는 이름은 북부지방에서 나는 분취 종류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국화과(Asteraceae)>엉겅퀴아과(Carduoideae)>엉겅퀴족(Cardueae)>취나물속(Saussurea) 가야산은분취 / 각시서덜취 / 각시취 / 경성서덜취 / 구와취 / 그늘취 / 금강분취 / 긴분취 / 꼬리서덜취 / 남포분취 / 담배취 / 당분취 / 덤불취 / 두메분취 / 두메취 / 묘향분취 / 물골취 / 바늘분취 / 백설취 / 백운취 / 버들분취 / 북분취 / 분취 / 비.. 2016. 10. 23.
식물 기재 용어 목록 식물 기재용어 정리할 목록 2강웅예 수술 4개 중 2개가 길다 3회 우상복엽 3회 깃꼴겹잎 3출복엽 3출깃꼴겹잎 4강웅예 수술 6개 중 4개가 길다 거(距) 꽃뿔 거치 톱니 견모 비단털 경생엽 줄기잎 관모 우산털 관목 떨기나무(0.7-2.0m) 관상화 관모양꽃=통모양꽃 괴경 덩이줄기 괴근 덩이뿌리 교.. 2016. 10. 23.
쌀새 쌀새 | 껍질새 Ssal-sae Melica onoei Franch. & Sav. ○ 국명정보 쌀새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쌀 + 새", 쌀새라는 이름은 영과가 벼의 쌀과 유사하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벼과(Poaceae) 쌀새속(Melica) 쌀새 / 왕쌀새 / 껍질새 / 참쌀새 / 알티시마쌀새 '아트로퍼퍼레아'(재배) ○ 분포|자생지 중국, 일본, 한국 | 거의 전국 산지 숲 속에 난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추서고 높이 90~150㎝이며 10여 개의 마디가 뿌리 가까이에 있고 하부의 마디는 잎몸이 없는 잎집으로 싸여 염주를 이어놓은 것 같다. 잎 선형으로 길이 15~30㎝, 너비 4~10㎜이고 잎집은 통형으로 마디 사이보다 길어 마디를 덮으며.. 2016. 10. 22.
초석잠 초석잠 | 草石蠶, 지잠, 감로자, 적로, 감로아, 토용, 보탑채, 와아채, 토충초, 지고우초, 지유 Cho-seok-jam Stachys Sieboldi Miq. 재배식물 ○ 분류 꿀풀과(Labiatae) 석잠풀속(Stachys) 석잠풀 / 개석잠풀 / 우단석잠풀 / 털석잠풀 / 초석잠(재배) ○ 분포|자생지 중국의 하북, 산서, 강소, 안미, 사천, 절강 등지에 분포한다. | 전국에서 약용으로 재배하거나 습한 곳이나 물가에서 자란다. ○ 형태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직립하고 기부에는 포복하는 뿌리가 있으며 끝에는 나사형의 덩이줄기가 있다. 줄기는 높이가 30~60센티미터이고 사각형이며 모서리가 4개 있고 상부에는 긴 가시털이 거꾸로 나 있다. 잎 마주난다. 잎몸은 달걀 모양이거나 긴 타원형으로 길이.. 2016. 10. 19.
정선바위솔(1) 정선바위솔(1) | 정선연화바위솔 Jeong-seon-ba-wi-sol Orostachys chongsunensis Y. N. Lee 한국고유종 ○ 국명 정보 정선바위솔 : 이영노 (1996) ○ 국명의 유래 "정선 + 바위솔", 정선바위솔이라는 이름은 강원도 정선 지역에 나는 바위솔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 분류 돌나물과(Crassulaceae) 바위솔속(Orostachys) 가지바위솔 / 갈미바위솔 / 둥근바위솔 / 모란바위솔 / 바위솔 / 애기바위솔 / 연화바위솔 / 잎새바위솔 / 정선바위솔 / 좀바위솔 / 진주바위솔 / 포천바위솔 / 다북바위솔 / 울릉연화바위솔 / 흰좀바위솔 ○ 분포|자생지 한국 | 강원도 정선 암석지에 자란다. ○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9cm쯤이고 줄기는 가지를 치지.. 2016. 10. 17.
좀바위솔 좀바위솔 | 애기바위솔 Jom-ba-wi-sol Orostachys minuta (Kom.) A. Berger ○ 국명정보 좀바위솔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 국명의 유래 "좀 + 바위솔", 좀바위솔이라는 이름은 바위솔을 닮았으되 좀처럼 작은 바위솔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 분류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ales 장미목 > Crassulaceae 돌나물과 > Orostachys 바위솔속 가지바위솔 / 갈미바위솔 / 둥근바위솔 / 모란바위솔 / 바위솔 / 애기바위솔 / 연화바위솔 / 잎새바위솔 / 정선바위솔 / 좀바위솔 / 진주바위솔 / 포천바위솔 / 다북바위솔 / 울.. 2016. 10. 17.
넉줄고사리(1) 넉줄고사리(1) | Squirrel’s-foot fern Neok-jul-go-sa-ri Davallia mariesii Moore ex Baker ○ 국명정보 넉줄고사리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 국명의 유래 "넉줄 + 고사리", 넉줄고사리라는 이름은 덩굴성 고사리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넉줄'은 방언에서 덩굴을 뜻하므로 바위 위로 뻗는 땅속줄기를 덩굴로 보아 넉줄고사리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추정한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편 바위 위로 뻗는 뿌리줄기를 넋줄(물에 빠져 죽은 사람의 넋을 건지기 위한 무속 의식에 쓰인 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관상용으로 분재한 일본 특산종인 줄고사리(구슬고사리)에서 힌트.. 2016.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