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색무당버섯 | 무당버섯
Ju-hong-saek-mu-dang-beo-seot
Russula rubra (Lam.) Fr. 1838 | 이명 Russula emetica (Schaeff.) Pers. 1796
○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Russulales 무당버섯목 > Russulaceae 무당버섯과 > Russula 무당버섯속
우리나라에는무당버섯속에 지금까지 57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분포
| 여름~가을, 침엽수림, 혼효림 또는 활엽수림의 땅에 군생·산생하며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소나무, 물오리나무, 이깔나무 또는 신갈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 개요
균모의 지름은 3~10cm이고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형으로 되며 중앙부는 조금 오목하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매끄러우며 장미홍색, 심홍색으로 젖으면 퇴색하여 홍황색 내지 연한 홍색이 된다. 표피는 벗겨지기 쉽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처음에 반반하며 매끄러우나 나중에 능선이 나타난다. 살은 부서지기 쉽고 백색이나 표피 아래쪽은 홍색을 띠며 아주 맵다. 주름살은 자루에 홈파진주름살 또는 떨어진주름살로 약간 빽빽하거나 성기며 폭은 약간 넓고 길이가 같으며 백색이다. 주름살의 변두리는 치아상이다. 자루의 높이는 4~8cm, 굵기는 1.2~2cm로 상하의 굵기가 같고 또는 분홍색을 조금 띤다. 표면은 반반하고 매끄러우며 가는 주름무늬가 있다. 포자의 크기는 7~10.5×6.5~10.5㎛로 아구형이고 표면에 가시와 그물눈이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낭상체는 피침형 또는 방망이형으로 꼭대기는 가늘게 뾰족하며 80~85×10~15㎛이다.
○ 활용
식*독 불명.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킨다.
○ 동정 포인트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평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한국야생버섯도감>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 여적
'버섯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변흰무당버섯(7) (0) | 2023.01.24 |
---|---|
민뿌리버섯(20220906) (0) | 2023.01.24 |
우산광대버섯(18) (0) | 2023.01.24 |
고동색광대버섯 (1) (0) | 2023.01.23 |
색시졸각버섯(12) (0) | 202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