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미역취(1)

by 풀꽃나무광 2022. 9. 26.

미역취(1) | Asian goldenrod

Mi-yeok-chwi

Solidago virgaurea L. ssp. asiatica Kitam. ex H. Hara


 국명정보
미역취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미역 + 취", 미역취라는 이름은 미역 맛이 나는 나물(취)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어린잎을 식용했는데 데치거나 국을 끓이면 미역 맛이 난다. 미역취라는 이름은 자원식물로 이용하면서 형선된 것으로 경상도, 강원도 방언을 채록한 것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분류
  국화과(Asteraceae) 속(Solidago)

 양미역취 / 미국미역취 / 미역취 / 울릉미역취

 

 분포|자생지
 
  일본, 한국 | 전국 산야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줄기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짙은 자주색이고 잔털이 있으며 높이가 30∼85cm이다. 
      꽃이 필 때 뿌리에서 나온 잎은 없어진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날개를 가진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폭이 좁아지며 잎자루가 없어진다.
     7∼10월에 노란 색으로 피고 3∼5개의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달리고 전체가 커다란 꽃이삭을 형성한다. 두상화는 지름이 1.2∼1.4cm이고 가장자리에 암꽃인 설상화가 1열로 배열하고 가운데에 양성화인 관상화가 여러 개 있다.

총포는 통 같은 종 모양이고 포 조각은 4줄로 배열한다. 
   열매  수과, 원통 모양이며 관모는 길이가 3.5mm이다.

 

 동정 포인트 
  1. 큰미역취에 비해 줄기가 가늘고 잎은 작으며 총포편은 4열로 배열하고 과실에 털이 거의 없다.  2. 총포가 넓은 종형이고 포편이 3렬로 배열하고 외편이 2-3mm로 길며 끝이 뾰족한 것을 산미역취라 한다.

 

 참고
 
 두산백과

  이우철 <한국기준식물도감>

 

 여적

2022. 09. 27. 경기 고양 서오릉
2022. 09. 23. 강원 평창 청태산

-뿌리잎

2023. 05. 02. 경기 고양 토당근린공원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향유(2)  (0) 2022.09.28
가시여뀌(1)  (0) 2022.09.26
둥근이질풀(2)  (0) 2022.09.26
흰진범(2)  (0) 2022.09.26
투구꽃(5)  (0) 2022.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