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모람(2) | 모람낭(제주), 왕모람
Ae-gi-mo-ram
Ficus thunbergii Maxim. | 원기재명 Ficus fauriei H. Lév. & Vaniot
※기존 왕모람을 애기모람으로 변경함
○ 국명정보
왕모름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조선식물향명집>(1937)
애기모람 :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3)
○ 국명의 유래
"애기 + 모람", 애기모람이라는 이름은 잎이 애기처럼 작은 모람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뽕나무과(Moraceae) 무화과나무속(Ficus)
모람 Ficus oxyphylla Miq. ex Zoll., 1854.기
무화과나무 Ficus carica L., 1753.
애기모람 Ficus thunbergii Maxim., 1882.
인도고무나무 Ficus elastica Roxb., 1814.
좁은잎천선과나무 Ficus erecta var. sieboldii (Miq.) King, 1888.
○ 분포|자생지
중국(저장성), 일본(혼슈 이남), 한국 | 전남의 일부 도서 지역, 제주도의 바닷가 및 산지 숲속에서 자란다.
○ 형태
수형 상록 덩굴성 목본으로 돌담. 바위 또는 수목을 감싸고 자란다.
수피 암갈색이며 어린가지는 갈색이고 부드러운 털과 옆으로 뻗은 털이 밀생한다. 가지나 잎을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온다.
잎 어긋나며 길이 1-6cm의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다소 두툼하다. 끝은 다소 뾰족하고 밑부분은 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표면에는 털이 있다가 차츰 없어지며 뒷면에 털이 밀생한다. 뒷면의 엽맥은 현저히 도드라져 있다. 측맥은 4-6쌍이고 주맥에서 50-60도의 각도로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3-10mm이며 어릴 때는 갈색의 털이 밀생하지만 차츰 떨어져 없어진다.
꽃 암수딴그루이며(원래 충영꽃은 암꽃에서 진화한 기관이므로 엄밀하게 말하자면 수그루라는 표면이 아주 정확하다고는 할 수 없음),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는 화낭 속의 꽃들은 주로 7-8월에 성숙하지만 개체에 따라 개화기의 변동 폭이 크다. 화낭은 지름 1.5-2cm 정도의 구형이며 표면에 백색의 털이 밀생하고 윗부분에는 좀벌이 드나드는 배꼽 모양의 작은 구멍이 생긴다. 암화낭과 수화낭의 형태는 비슷하다.
열매 암화낭이 성숙하여 열매(과낭)가 되면 과낭은 지름 2-2.5cm 전후의 구형으로서 10월~이듬해 1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 동정 포인트
1. 모람과 비교할 때 잎이 보다 더 작고 끝이 꼬리처럼 되지 않으며 뒷면 맥 위에 갈색 털이 밀생하는 점과, 과낭이 지름 2cm 정도로 좀 더 큰 점이 모람과 다르다.
▩ 모람 : 왕모람
모람 | 왕모람 | |
잎 | 상대적으로 더 크고 길고 끝이 꼬리처럼 뾰족함. 양면에 털이 없음 |
상대적으로 더 작고 끝이 꼬리처럼 되지 않음. 뒷면 맥위에 갈색 털이 밀생함 |
열매(화낭) | 지름 1cm 정도, 상대적으로 더 작음 | 지름 1.5cm 정도, 상대적으로 더 큼 |
○ 참고
김진석, 김태영 <한국의 나무>
※왕모람은 모람과 마찬가지로 화낭의 외형만으로는 암수 구별이 어렵다. 또한 국내의 개화기와 결실기도 기존 문헌의 내용과 차이를 보인다.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