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반도식물

가막살나무(5)

by 풀꽃나무광 2022. 4. 28.

가막살나무(5) | 털가막살나무

Ga-mak-sal-na-mu

Viburnum dilatatum Thunb.

 

 국명 정보

1) 조선식물향명집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2)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3) 한국식물도감 (이영노, 1996, 1998)

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국명 유래

-나무의 껍질이 거무스름한 데서 유래한다는 설이 있다.

-열매를 까마귀가 먹는 쌀이라고 생각한 데서 ‘가막살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출전 : 박상진<우리 나무 이름 사전>(2019)

 

 분류
  산토끼꽃목(Dipspcales)>연복초과(Adoxaceae)>산분꽃나무속(Viburnum) 
※앵글러 분류 시스템에서는 산분꽃나무과(또는 인동과) 산분꽃나무속로 분류함.   가막살나무 / 배암나무 / 분꽃나무 / 분단나무 / 산가막살나무 / 산분꽃나무 / 푸른가막살 / 덜꿩나무 / 백당나무 / 아왜나무

 

 ○ 분포|자생지
   
중국(중남부), 일본(홋카이도 남부 이남), 타이완, 한국 | 주로 경기도 이남 지역의 산지에 자란다.

 

 ○ 형태
   수형
  낙엽 관목, 높이 2-3m 정도로 자란다.
   수피  회갈색이며 피목이 흩어져 있다.

   겨울눈   길이 3-5mm인데, 인편은 2쌍이고 긴 털이 밀생한다.
     마주나며 길이 5-14cm의 넓은 도란형-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거나 급히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쐐기형-심장형이며, 가장자링에는 치아상 톱니가 있다. 양면 모두 성상모가 있으며. 특히 맥 위에 밀생한다. 뒷면은 전체에 미세한 선점이 밀생하며, 기부에는 2-3개의 큰 선점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20mm이며 탁엽이 없다. 
     5-6월에 산형상 취산꽃차례에 백색의 양성화가 모여 달린다. 화관은 지름 5mm이고, 5갈래로 갈라지며 화관열편은 난상 원형이다. 수술은 5개이다. 수술의 길이는 화관보다 길며, 암술대는 꽃받침통부와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핵과, 길이 7-8mm의 난상 타원형-구형이며  9-10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핵은 지름 6-7mm의 납작한 난형-광난형인데, 표면이 다소 울퉁불퉁하고 앞면에 3개, 뒷면에 2개의 세로줄이 있다. 

 

 동정 포인트 
 1. 산가막살나무에 비해 갈색의 긴 털과 성상모가 많으며, 잎이 보다 둥글고 흔히 밑부분이 둥글거나 얕은 심장형인 점이 특징이다. 

 

 참고
   
김진석, 김태형 <한국의 나무>

 

 여적

 

2022. 04. 27. 제주도 온난대림연구소
2022. 05. 03. 제주도 한라산

'한반도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귤나무(2)  (0) 2022.04.28
한라새우난초  (0) 2022.04.28
참꽃나무(2)  (0) 2022.04.28
비자나무(2)  (0) 2022.04.28
조도만두나무(1)  (0) 2022.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