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주름찻잔버섯 |
Jom-ju-reum-chat-jan-beo-seot
Cyathus stercoreus (Schwein.) G.W. Martin 1888
○ 분류
담자균문 > 주름버섯강 > 주름버섯목 > 주름버섯과 > 주름찻잔버섯속
좀주름찻잔버섯 Cyathus stercoreus (Schwein.) G.W. Martin 1888
주름찻잔버섯 Cyathus striatus (Huds.) Willd. 1787
○ 분포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 등 전 세계 | 여름~가을, 거름, 똥, 볏짚, 왕겨 등 부식질이 많은 땅에 군생한다.
○ 개요
자실체의 높이는 1cm, 지름은 0.5cm로 가늘고 긴 컵 모양이다. 외면은 황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되며 두꺼운 솜털이 밀생하나 나중에 벗겨져서 매끄럽게 되고 내면은 매끄러우며 검은색이고 맨바닥에 여러 개의 검은색 소피자가 들어 있다. 소피자의 지름은 1.5~2mm로 바둑알 모양이며 아래쪽 중앙에 가는 끈이 붙는다. 포자의 크기는 22~35×18~30μm로 아구형-광난형이고 미세한 과립이 있으며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며 포자벽이 두껍다. 담자기의 크기는 40~50×12~16μm로 곤봉형이고 3개 이상의 포자성이다. 기부에 꺾쇠는 없다.
○ 활용
식*독 불명.
황산화 작용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위통, 소화불량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 동정 포인트
좀주름찻잔버섯 | 주름찻잔버섯 |
자실체 내부 안쪽 면은 청회색~흑색이고 평활하다. 소피자는 흑색의 바둑 모양이다. |
자실체 내부 안쪽 면은 회색~회갈색이고 뚜렷한 세로 홈선이 있다. 소피자는 회흑색~회갈색의 바둑 모양이다. |
○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광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한국야생버섯도감>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생명과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29419&cid=60261&categoryId=60261
○ 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