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류

노루털귀버섯( 20210620)

by 풀꽃나무광 2021. 6. 20.

노루털귀버섯( 20210620) | 노랑털귀버섯, 노란털귀버섯

No-ru-teol-gwi-beo-seot

Crepidotus badiofloccosus S. Imai 1939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Agaricales 주름버섯목 > Crepidotaceae > Crepidotus 귀버섯속 

고약귀버섯 Crepidotus hygrophanus Murrill 1917
귀버섯 Crepidotus mollis (Schaeff.) Staude 1857
꼬마무리귀버섯 Crepidotus latifolius Peck 1899
끈적귀버섯 Crepidotus uber (Berk. & M.A. Curtis) Sacc. 1887
노란고리귀버섯 Crepidotus circinatus Hesler & A.H. Sm. 1965
노란귀버섯 Crepidotus sulphurinus Imazeki & Toki 1954
다색귀버섯 Crepidotus variabilis (Pers.) P. Kumm. 1871
땅귀버섯 Crepidotus geophilus (Murrill) Redhead 1984
말검귀버섯 Crepidotus lundellii Pilát 1936
먼지귀버섯 Crepidotus obscurus Hesler & A.H. Sm. 1965
분홍주름귀버섯 Crepidotus subverrucisporus Pilát 1949
주걱귀버섯 Crepidotus cesatii var. subsphaerosporus (J.E. Lange) Senn-Irlet 1995
주황귀버섯 Crepidotus luteolus Sacc. 1887
콩팥노란귀버섯 Crepidotus nephrodes (Berk. & M.A. Curtis) Sacc. 1887
평평귀버섯 Crepidotus applanatus (Pers.) P. Kumm. 1871
풀귀버섯 Crepidotus epibryus (Fr.) Quél. 1872

 

 분포

한국, 중국, 일본 | 여름~가을, 활엽수의 부후목에 군생~산생한다.

 

 개요

갓의 지름은 1~3.5cm로 처음에는 원형에서 콩팥형 또는 반구형으로 되며 중앙은 편평하거나 오목하다. 표면은 축축하다가 마르며 처음에 갈색의 미세한 털이 밀포하다가 다소 매끈하게 되지만 퇴색되면 중앙에 백색의 미세한 털이 있다. 가장자리는 아래로 말렸다가 나중에 위로 올라가고 얇게 갈라지며 줄무늬홈선은 없다. 살은 얇고 백색이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바른주름살이고 빽빽하거나 약간 성기며 백색에서 계피색으로 된다. 자루는 없다. 포자의 크기는 5.5~6×4.5~5µm로 아구형으로 선단이 주둥이 모양이며 반점이 있다. 포자문은 계피색이다.

 

 활용

식*독 불명.

 

 동정 포인트

갓 표면에 갈색 선모가 밀생하며 때로는 인편상이다. 갓이 커지면 털이 빠지기도 하여 백색 바탕이 나타난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고광열, 구재필, 최석영, 홍기성 <한국야생버섯도감> 2021. 광문각

박완희, 이지헌 <새로운 한국의 버섯> 2011. (주)교학사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2017 푸른행복

 

 여적

-기주와 접하는 부분이 백색 솜털로 덮여 있다.

2021. 06. 20. 경기 고양 정발산

'버섯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덕다리버섯(2)  (0) 2021.06.26
해면버섯(2)  (0) 2021.06.20
난버섯(5)  (0) 2021.06.20
목련무당버섯(5)  (0) 2021.06.20
큰낙엽버섯(6)  (0) 2021.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