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창초(1) | 금란초, 섬자란초, 가지조개나물, 중국명 金疮小草 [jin chuang xiao cao, 금창소초], 영문명 Decumbent bugle
Geum-chang-cho
Ajuga decumbens Thunb.
○ 학명의 뜻
-속명 Ajuga<=a(否定, 無) + juga(쌍으로 되지 않는다.) =>양순형인 꿀풀과 꽃의 구조의 특징과는 달리 양순형이 아니다.
-종소명 decumbens ; 옆으로 누운 => 줄기가 땅바닥에 누워 옆으로 긴다.
-명명자 Thunb. <= 스웨덴 식물학자 칼 페테르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
○ 국명정보
금창초(金瘡草)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
=>중국명, 일본명 '金疮小草'을 줄인말로 봄
○ 국명 유래
"금창초"라는 이름은 중국명 金疮小草의 줄인말에서 유래했다. 금창초(金瘡草)는 각종 쇠붙이로 인한 상처에 전초를 짓찧어 붙여 치료를 한 데서 유래했다.
○ 다른 국명
-금란초 1)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난초과의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Thunb.) Blume)와 혼동
-섬자란초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
=>섬에서 자라는 자란초와 비슷한 식물이라고 봄
-가지조개나물 1)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1988)
=>조개나물과 비슷한데 가지가 많이 생긴다.
○ 분류
꿀풀과(Lamiaceae) 조개나물속(Ajuga)
금창초 / 자란초 / 붉은조개나물 / 조개나물 / 흰조개나물
○ 분포|자생지
중국, 타이완, 일본, 한국 | 경남, 경북(울릉도), 전남북도, 제주도 등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 나지, 밭두렁, 길가, 마을 근처에 자란다.
○ 형태
생활형 여러해살이풀
줄기 옆으로 뻗고, 높이 5-15cm다.
잎 뿌리잎은 여러 장이 모여나며, 길이 4-6cm, 폭 1-2cm,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길이 1.5-3.0cm다.
꽃 4-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돌려나며, 분홍색 또는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 털이 난다. 화관은 길이 1.0-1.3cm, 윗입술은 2갈래, 아랫입술은 3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다.
열매 분과, 난구형이다.
○ 동정 포인트
1. 조개나물에 비해 줄기는 땅 위를 기고 꽃줄기는 다북하게 모여 난다.
2. 꽃이 장미색인 것을 내장금란초(A. decumbens var. rosa Y. Lee )라 하여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
○ 활용
식용, 약용. 항암제 잠재성이 있다.
○ 참고
한국생물자원포털 http://www.nibr.go.kr/species/home/species/spc01001m.jsp?cls_id=55374&from_sch=Y
○ 여적
금창초가 아주 밭을 이루어 자란다. 자잘한 보라색 꽃이 땅바닥에 바짝 달라붙은 채 무더기로 피어 있다. 조개나물과 같은 속이라서 꽃 색깔과 모양이 거의 같은데 조개나물은 꼿꼿이 서서 자란다. 서울 근교에서 만나보기는 처음이다. 주로 남부 지방에 나는 우리 자생식물이라 수도권에서는 보기 드물다. 예전에 비해 기후 온난화 현상이 날로 극심해지고, 물류가 왕성하여 수도권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금창초라는 국명은 어떻게 유래했을까? 이창복 <대한식물도감>(1890)에서 유래한다. 이우철 <한국식물명고>(1996)에서도 금창초라 하였다.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조선식물명집>(1949)에서는 금란초라 하였다. 박만규 <우리나라식물명감> (1949)에서는 섬자란초라 하였다. 김현삼, 리수진, 박형선, 김매근 <식물원색도감 과학백과사전>(1988) 가지조개나물이라 하였다. |
-내장금란초, 꽃의 색깔이 약간 분홍색이 돌아 아래와는 다른 느낌을 주는 생태적 변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