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저귀(1) | 모싯대, 오작이, 靑麻, 白麻, 언주에/어주에(제주)
Eo-jeo-gwi
Abutilon theophrasti Medik.
재배식물
○ 국명정보
어저귀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조선식물향명집>(1937)
○ 국명의 유래
"엊 + 어귀"어저귀라는 이름은 천이나 노끈 등을 만드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열매를 약용하고 줄기의 껍질로 섬유를 만들었다. <동의보감>은 경실(苘實)에 대한 한글명이 '어저귀여름'이고 이를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하며, 지금 사람들이 껍질로 천을 짜고 노끈을 꼬는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엊+어귀에서 엊은 줄기 껍질을 엮어서 천이나 노끈을 만드는 식물이라는 뜻이다. 참고 : 조민제, 최동기, 최성호, 심미영, 지용주, 이웅 편저 <한국 식물 이름의 유래>
○ 분류
아욱과(Malvaceae) 아욱아과(Malvoideae) 어저귀속(Abutilon )
어저귀
○ 분포|자생지
인도 원산, 전 세계 분포 | 섬유식물로 도입하여 한때 재배하였으나 들로 퍼져 나와 지금은 전국 각지에 야생화하였다.
○ 형태
한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약 1.5m로 전체가 털로 덮여 있다.
잎 어긋나기하며 심장상 원형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다.
꽃 8~9월에 피며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난 1~3cm의 꽃자루 끝에 지름 1cm가량의 노란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로 밑부분이 합쳐 있다.
열매 삭과로 심피가 윤상으로 나열되고 뾰족한 끝이 밖으로 젖혀지는데, 익으면 흑색 분과가 촘촘히 선다.
○ 동정 포인트
1. 원예종 Abutilon megapotamicum에 비해 잎이 크며 심장형이고 열매가 12-16분과로 이루어진 것이 다르다.
○ 참고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박수현 <한국의 귀화식물>
○ 활용
한때 원줄기에서 섬유를 채취하기 위해 재배하였다. 민간에서 전초를 약용으로도 이용한다.
○ 여적